자체 연구조사 통해 "분당선 지하철 노선 중 혼잡도 '최고수준'" 분석
열차 증차 등 분당선 혼잡 문제 해결 '자신'
[파이낸셜뉴스 성남=장충식 기자] 김용 성남 분당갑 국회의원 예비후보는 5일 지하철 분당선 혼잡도가 수도권 전체 노선 가운데 ‘최고 수준’이라는 내용의 자체조사 분석보고서를 공개하고, ‘분당선 지옥철 개선’을 ‘제3호 공약’으로 제시했다.
김 예비후보는 "자체조사 결과 분당선 혼잡도가 높은 원인은 대책 마련없는 무분별한 추가연장과 한국철도공사의 돈벌이에 급급한 운영 때문"이라며 "지하철 운행시격 단축이나 열차 증편을 추진함으로써 분당선 이용객들의 교통편의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비후보가 구체적인 공약 제시를 위해 지하철 전체 노선에 대한 자체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김 예비후보는 ‘정책 선거문화 정착’을 위해 모범사례를 실천하고 있다.
김 예비후보는 지난 4일 자신의 SNS에 ‘제 3호 공약으로 분당선 지옥철 개선을 제시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하고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2개월여 간 ㈜평화엔지니어링의 자문과 2018년 철도연보, 자체조사 등을 통해 작성한 ‘분당선 혼잡도 분석보고서’를 공개했다.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출퇴근 시간 등 혼잡시간대(오전 6시~8시, 오후 6시~8시)의 분당선 오리~수서 구간 평균 혼잡도는 169.7%로 집계됐다.
수도권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체 21개 노선 내 가장 혼잡한 구간의 혼잡도 평균인 평균 135.3%보다 34.4%p 높은 수치로 △9호선 염창~당산 구간(201.0%) △중앙선 청량리~왕십리 구간(173.0%) △2호선 사당~방배 구간 (170.3%)에 이어 4번째로 높다.
특히 모란역의 경우, 혼잡도 193.1%로 9호선 염창~당산 구간(201.0%)에 이어 전체 수도권 노선 중 두 번째로 혼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가천대역(192.7%) △야탑역(188.3%) △이매역(181.5%) △복정역(173.0%) 등 대다수 역사의 혼잡도가 170%를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혼잡도 150%를 넘을 경우 지하철 내부가 ‘만원’이 되는 점, 200%를 넘을 경우 승하차를 하지 못하는 승객이 발생하는 등의 사태가 빚어지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분당선 이용객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분당선 혼잡도는 지난 2008년 157.1%에서 신분당선이 개통된 지난 2012년 130.4%로 감소했다가 2014년 169.3%, 2018년 169.7%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분당선은 물론 분당선과 연결된 신분당선의 운행 구간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지하철 이용객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 예비후보는 “노선추가 연장 시에는 이용객 편의를 고려한 대책이 마련돼야 하는데 아무런 대책없이 무분별한 노선 추가연장이 이뤄지면서 분당지역 시민들의 교통 편의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있다”며 “사정이 이런데도 코레일은 ‘돈벌이’에만 급급한 운영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김 예비후보는 혼잡시간대의 배차간격을 조사한 결과를 제시하며, "열차 증차를 통해 최소 4분에서 최대 12분인 운전시격을 4~6분대로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예비후보는 “배차간격이 최소 4분인 점으로 볼 때 열차 증차를 통한 운전시격 축소는 당장이라도 가능하다”며 “코레일이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기관사 충원을 꺼리는 등 돈벌이에 급급한 운영을 하면서 빚어진 결과로 보이는 만큼 인원충원 및 열차증차가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김 예비후보는 장기대책으로 현재 6량으로 운영되고 있는 열차를 8량으로 확대 편성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한편, 김 예비후보는 학교 내 전담인력 배치를 통해 청소년들의 심리 치료를 실시하는 ‘마음주치의제’와 공익적 일자리 연계 등을 통해 50~60대 중장년들의 취업 기회를 확대하는 ‘신중장년 활력도시 조성’을 제1·2호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교통 분야’ 공약으로는 △지하철 8호선 광주 오포구간 추가 연장 및 서현동 지하철 역사 신설 △3호선 연장 시 지하철 역사 판교 유치 △월곶 판교선 서판교 구간 조기개통 △성남도시철도(트램) 노선조정 추진 등을 제시했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