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코로나발 수출·투자 위기, 장기대책 절실하다

올해 성장률 '반토막' 우려
선제적 재정·통화정책 필요

우리 경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먹구름이 잔뜩 낀 가운데 올해 수출과 투자 전망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9일 미국 블룸버그가 집계한 세계 주요 투자은행(IB)과 경제연구기관의 올해 한국 수출증가율 전망치는 2월 응답 평균 2.1%로 전월(2.3%)보다 0.2%포인트 내렸다. 영국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올해 한국 수출증가율이 0.5%에 그친다는 전망을 내놨다. 소시에테제네랄과 JP모간체이스는 각각 1.7%와 1.8%의 수출증가율을 예상했다. 투자관련 전망도 줄줄이 곤두박질쳤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한국의 올해 투자증가율 전망치는 1월의 2.0%에서 0.1%포인트 빠졌다.

성장률 전망도 덩달아 어둡다. 영국의 캐피털이코노믹스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5%에서 1.5%로 크게 낮췄는데 이는 우리 정부가 제시한 3.0%의 반토막에 불과하다. 이 같은 부정적 전망은 현재 진행 중인 신종 코로나 사태가 금방 수그러들지 않으면 연간 성장세에 주는 타격이 불가피하며, 사태가 종식돼도 후유증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렵다는 우려 때문에 나왔다. 감염증 발생지 중국에서 수입하는 중간재 비중이 주요국 가운데 미국 다음으로 높은 데다 소비심리 위축이 장기적으로 설비투자 감소로 이어지리라는 전망이 깔려 있다. 당장 중국산 중간재 수입차질이 자동차 생산라인을 멈추게 한 데 이어 앞으로 반도체 등 주요 제조업의 생산·수출 차질이 빚어지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소비심리와 소비지출 위축이 유통, 관광, 외식 등 서비스업종 전반으로 확산될 것은 불문가지다. 수출과 투자전망이 어둡고, 성장률 전망치가 떨어지는 것은 우리만의 사정이 아니다. 국제신용평가회사인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8%에서 2.5%로 하향 조정하는 등 세계 주요 경제분석기관이 한결같이 성장전망을 낮추는 추세다.

성장률이 떨어지면 실업자가 늘어나기 시작하는 등 중국과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경기가 굉장히 영향을 받을 것 같고, 고용시장에도 영향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중국 수출비중이 전체의 25%를 넘는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디스플레이, 석유제품, 철강,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산업계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를 예의주시해 장기대책을 세워야 한다. 실물경기를 면밀하게 파악한 뒤 선제적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통해 경기를 부양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