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영국, 브렉시트 후 자유무역항 등 인프라 구축 박차

영국, 브렉시트 후 자유무역항 등 인프라 구축 박차
Lorries queue as they wait for ferries at the Port of Dover, as the UK prepares for Brexit to leave the European Union on upcoming Friday, at Dover, in southern England, Tuesday Jan. 28, 2020. Britain officially leaves the European Union on Friday after a debilitating political period that has bitterly divided the nation since the 2016 Brexit referendum. (Gareth Fuller/PA via AP) /뉴시스/AP /사진=
[파이낸셜뉴스] 영국이 브렉시트 이후(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교역 활성화를 위해 자국 내 10개의 자유 무역항 선정 및 구축에 본격 나선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영국 보리스 존슨 행정부는 다음달 11일 첫 예산안에 이에 대한 예산을 편성하고 연말까지 무역항 선정을 위한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리시 수낙 영국 재무부 장관은 "자유무역항을 통해 들어오는 상품들은 수입세 및 관세가 면제되며 단순 규제에서 혜택을 입게될 것"이라며 "자유무역항의 구축을 통해 새로운 사업의 유치 및 일자리및 투자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자유무역항은 보리스 존슨 총리가 보수당 대표에 출마할 당시 내세웠던 공약 중 하나로 당시에는 6개의 자유무역항 지정을 공약했지만 브렉시트 이후 이를 확대해 낙후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촉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은 과거 1984년부터 2012년까지 리버풀과 사우샘프턴 등 7개 지역에서 자유무역항을 지정해 운영해왔으나 자유무역항이 공정한 경쟁을 저해한다고 판단한 EU의 방침에 따라 관련 법안의 갱신이 무산되면서 2013년 이후 이를 폐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영국 정부의 자유무역항 확대 정책에 대해 여러 논란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지난해 자유무역항의 구축이 자금 세탁 및 테러 자금 조달, 탈세, 위조품 제조 등에 악용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말 브렉시트로 독자적인 무역정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된 존슨 행정부가 가장 먼저 자유무역항 구축과 더불어 영국의 제2고속도로 건설 등 사회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 총선때 보수당을 지지한 북부 잉글랜드와 미들랜드 지역에 5G 무선 통신망 및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에 예산 지출을 확대하면서 지역 발전 불균형 해소를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영국 국립경제사회연구소는 "브렉시트 직후 국가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존슨 행정부의 이러한 지출 확대가 얼마나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생산성을 더욱 촉진하거나 브렉시트의 영향을 상쇄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