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정지우 특파원】미국 연방준비제도가 3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깜짝 인하하면서 중국도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호주와 홍콩이 이미 기준 금리를 내렸고 주요국들은 공동대응 전선을 형성하는 등 세계 경제둔화 대비에 들어갔다. 그러나 중국을 놓고는 의견이 엇갈린다.
차이푸 증권 우차오밍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4일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코로나19 사태와 연관해 유동성 공급 등 많은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면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적다”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미 연준의 금리인하 조치는 전 세계 시장의 투자 심리를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중국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하지만 코로나19에 대한 주요국 중앙은행이 공동 전선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중국도 동시다발적인 기준금리 인하에 동참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 호주 중앙은행은 전날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인 0.50%로 하향 조정했고 홍콩금융관리국도 4일 웹사이트를 통해 기준금리를 1.5%로 0.5%포인트 낮췄다고 발표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이날 보도했다.
증신증권 밍밍 에널리스트는 같은 날 펴낸 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세계 확산이 연준의 긴급 금리 인하의 직접적 요인이 됐다”면서 “인민은행이 통화 정책을 펼칠 공간이 더욱 넓어지게 돼 이달 중으로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19의 경제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를 열면서 중앙은행 총재도 참석시켰다. 이를 두고 금융정책도 동원될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여기다 일본은행과 영국 영란은행, 유럽중앙은행(ECB) 등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금융과 통화 안정을 위해 대응할 것이라는 특별 성명을 잇따라 내놨다.
미 연준 출신인 미 미 은행정책연구소(BPI)의 빌 넬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달 초 BPI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동시에 기준금리를 내릴 것”이라면서 “이번에는 인민은행과 홍콩 금융관리국이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1년 만기 수신 기준금리와 대출 기준금리를 각각 1.50%, 4.35%로, 지난 2015년 10월 이후 4년 이상 동결해왔다. 대신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나 대출우대금리(LPR)를 내려 직접적으로 시장 금리에 영향을 미치도록 했다.
올해도 지난 지난달 17일 1년 만기 MLF 대출 금리를 기존의 3.25%에서 3.15%로 0.10%포인트, 20일에는 1년 만기 LPR를 전보다 0.10%포인트 낮은 4.05%로 각각 고시했다.
따라서 인민은행이 MLF 금리와 LPR에 이어 기준금리 인하마저 내리면 코로나19의 경제 충격파가 예상보다 크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류궈창 인민은행 부행장은 22일 관영 금융시보와 인터뷰를 갖고 “국무원의 판단에 따라 경제 성장과 물가 수준 등 기본 상황을 고려해 적기에 적절한 강도로 조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적 파급이 예상보다 클 경우 사실상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