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급휴직 사태 4월 1일 다가오는데
주한미군 25일 4000여명에 휴직 통보
미측 "SMA 타결되면 문제해결"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 최응식 한국노총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연맹 전국주한미군한국인노동조합 위원장을 비롯한 조합원들이 지난 25일 오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가진 방위비 제도개선 통한 국민 보호 촉구 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타결이 늦어지며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 사태가 다가오고 있지만 미국은 이를 따로 해결하기보다는 "SMA 타결"이라는 원칙론을 고수하고 있다.
26일 미국의소리(VOA)방송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한·미 동맹을 강화하고 이를 강력히 지탱하기 위해 두 나라에 모두 공정하고 공평한 SMA 협상 결과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 국무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접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화상회의 같은 비대면 방식, 직접 면담 등을 통해 논의를 계속할 수 있다고 답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렸던 지난 SMA 7차 회의에서 한미는 기존 협상 일정에 더해 이례적으로 연장전을 펼쳤지만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는 못했다.
양측 대표가 머리를 맞대도 좁히지 못했던 입장차를 회상회의 등 비대면 방식 등의 방법으로 풀 가능성은 낮다.
또 당면한 무급휴직 문제에 대해 미 국무부는 "이는 협상 결과에 달린 문제"라고 답했다. 미측이 무급휴직 사태 해결에 적극적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은 셈이다.
미 국무부는 “미국의 동맹국들이 비용을 공정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공평한 SMA에 한미 양국이 합의한다면 무급휴직은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공정하고 공평한 분담을 제공하고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 상호 수용가능하고 포괄적인 합의를 위한 협상에 계속 전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주한미군사령부는 지난 25일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 중 절반 수준인 4000명에게 강제 무급휴직 결정을 통보했다. 이로써 4월 1일 무급휴직 사태의 현실화 가능성은 더 커졌다.
#주한미군 #방위비 #국무부 #무급휴직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