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손해보험사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주목 받았던 펫보험이 좀처럼 기지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핀테크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고, 고양이보험 등 신상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천차만별인 동물병원 진료비 등 제도적 한계에 발목이 잡혀 성장이 더딘 모습이다. 이에 손보업계에선 진료항목 표준화, 진료비 사전제도 등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21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7년 현대해상이 국내 손보사 최초로 펫보험을 출시한후 주요 손보사들이 지난해 앞다퉈 펫보험 시장에 뛰어들었다. 또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인슈어테크를 접목해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며 시장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는 손보업계가 펫보험의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 반려동물 수가 1000만마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관련 산업 규모도 올해 3조4000억원에서 2026년 5조7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펫보험 가입률은 여전히 0.1%가 채 안된다. 2018년 말 출시후 시장을 주도했던 메리츠화재의 펫퍼민트가 펫보험 바람을 타고 지난해 상반기 1만여건의 계약건수를 기록했지만 하반기 계약건수는 5900여으로 상반기 대비 약 42% 감소했다. 올들어 3월까지 계약건수도 3000여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계약이 약 25% 감소했다. 손보사들이 주도적으로 시장 활성화에 나서고 있지만 좀처럼 시장 확대가 안되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관련 제도 개선이 지체되면서 펫보험 성장의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이다.
펫보험 시장 확대를 위해선 동물병원 진료비 표준화, 진료비 사전고시·공시제 도입 등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동물병원 진료비 표준화는 다빈도 진료항목에 대한 코드와 진료비 표준화를, 진료비 사전공시·공시제는 동물병원 진료비를 사전에 알려주거나 진료비를 공시해 소비자들이 손쉽게 진료비를 쉽게 파악하고 직접 동물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그동안 동물병원의 천차만별 진료비는 소비자 민원은 물론 펫보험의 손해율 상승의 주요인으로 꼽혀왔다. 이에 보험업계는 물론 소비자단체들이 관련 법안 마련을 요구해왔지만 여전히 법 개정이 안된 상태다.
동물등록제 활성화를 위한 등록방식 개선 또한 법제도가 지연되면서 업계 차원에서 구축한 서비스 조차 제대로 활용이 안되는 실정이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진료비 표준화 등은 펫보험 뿐 아니라 소비자의 진료 선택권과 진료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측면에서 시급히 개선돼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도 필요성을 공감해 관련 법안을 마련했고. 5월 예정된 임시국회에서도 처리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