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바닷물 담아두면 식수 되는 물병

UNIST 김차중·김영식 교수팀
담수화·조명 '아쿠아시스' 개발

바닷물 담아두면 식수 되는 물병
아쿠아시스를 이용해 담수화된 물은 식수를 구하기 어려운 바닷가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바다에 인접해 있지만 만성적 식수와 전력 부족으로 인해 보통의 일상을 누리지 못하는 제3세계 국가의 아이들을 위한 제품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아침에 일어나 바닷물을 담아두면 오전에는 정수기로, 오후에는 생수통으로, 밤에는 조명등으로 기능한다. 특히, 해수전지로 작동되는 조명은 교육 및 놀이 기회가 부족한 아이들에게 야간에도 책을 보거나 놀이를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차중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와 김영식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생활담수화 및 조명 제품 '아쿠아시스(Aquasis)'를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수전지 기술과 디자인 작업이 결합된 이 제품은 지난 3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2020'에서 '프로페셔널 콘셉트' 부문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쿠아시스는 해수전지의 담수화 기능에 주목해 문제를 해결했다.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하는 해수전지는 충전 과정에서 바닷물을 담수화할 수 있다. 연구진은 조명 상단에 있는 태양광 패널로 해수전지를 충전해 조명을 위한 전기를 담고, 동시에 마실 수 있는 물을 만들 수 있도록 제품을 디자인했다.이 제품은 수인성 질병에 취약한 어린이들의 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만큼 살균된 깨끗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이들도 쉽게 바닷물을 담을 수 있는 크기와 무게로 디자인했다.


김차중 교수는 "아쿠아시스는 기술의 사회적 기여에 초점을 맞춰 제3세계 아이들이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깊은 고찰과 고민을 바탕으로 연구와 협업을 진행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아쿠아시스를 상용화해 실제 제품으로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협력하고 있다. 또 아쿠아시스 외에도 해수전지의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 교원창업기업 ㈜포투원을 통해 사업화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