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대구환경청, "안동댐 왜가리 폐사 원인, 중금속 영향 아냐"

대구환경청, "안동댐 왜가리 폐사 원인, 중금속 영향 아냐"
경북 안동댐 왜가리 번식지.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대구광역시 안동댐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 왜가리 폐사 원인을 분석한 결과 중금속의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지방환경청이 지난 2018년부터 추진한 안동댐 왜가리 폐사원인 분석 연구용역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의과대학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왜가리의 폐사에 질병이나 중금속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11개월에 걸쳐 안동댐 지역 7개체, 타지역(봉화·영주) 4개체 등 총 11개체를 대상으로 병원체 검사, 중금속 검사, 외상 및 내장부검 등 3개 분야에 대해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

병원체 검사 결과 대장균, 살모넬라 및 가금콜레라와 같은 세균성 질병의 감염은 없었고,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I)도 확인되지 않았다.

총 9개 항목의 중금속(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아연, 니켈, 세슘, 크롬) 분석결과 카드뮴과 비소는 미검출, 그 외에 중금속은 미량 검출되었다.

안동댐 인근 왜가리와 타지역 왜가리를 비교시 일부 항목에서 안동댐 인근 왜가리의 체내 중금속 농도가 약간 높기는 하나, 유의성 있는 중금속 수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조사된 중금속 농도가 왜가리의 생리활성에 비정상적 요인으로 작용할만한 수치로 검출되지 않았다고도 밝혔다.

외상 및 내장부검 결과, 육안적 병기검사 가능한 개체의 경우 심장, 간, 폐 등 모두 정상이었고 이상소견도 발견되지 않았다.

정경윤 대구지방환경청장은 “이번 연구는 2017년과 2018년에 폐사한 왜가리 사체를 확보하기 어려워 2019년에 폐사한 왜가리들을 주 대상으로 한 한계는 있다”라며 “앞으로 왜가리 번식지 보호를 위해 안동시와 협의하여 보전대책을 마련하는 등 지속적으로 야생동물 안전관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청장은 이어 “왜가리·백로의 번식기 등 민감한 시기에 번식지를 출입하여 교란하는 행위를 자제해 왜가리 등 야생동물 보호에 협조하여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왜가리 폐사 원인분석 외에 환경부와 대구지방환경청에서는 낙동강 상류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조사·연구를 실시 중이다.

현재까지도 중금속 오염원인 규명과 유출 평가를 위한 정밀조사가 2019년 8월부터 진행 중이다.

niki@fnnews.com 강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