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어정쩡 '생활방역'…코로나 확산에 사실상 '고강도 거리두기'

어정쩡 '생활방역'…코로나 확산에 사실상 '고강도 거리두기'
서울 강서구 한 미술학원 강사가 지난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인근 초등학교 2곳이 등교 중지 결정을 내린 가운데 해당 학원에 다닌 유치원생 1명도 같은날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박상휘 기자 =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N차 감염'의 고리가 끊어지지 않으면서 온전한 생활방역으로의 전환은 여전히 요원한 상황이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4일 기준으로 이태원 클럽 관련 누적 확진자 수는 237명이다. 문제는 5차 감염이 7명에 이르고 6차 감염 사례도 1건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조용한 전파'가 지역사회 깊숙히 파고들었다는 의미다.

구체적으로 인천 학원강사(인천 102번)·코인노래방을 거친 확산이 부천 돌잔치를 통해 5차·6차감염으로 이어졌다. 돌잔치를 다녀온 광진구 13번 확진자의 직장동료(중랑구 18번·5차 감염)가 확진 판정을 받았고, 중랑구 18번 확진자의 남편(중랑구 19번·6차감염)까지 확진된 것이다.

5차 전파 역시 돌잔치 관련 광진구 13번 확진자가 다녀온 식당을 통해 식당 근무자·손님 등을 포함 7명까지 확진된 상황이다.

아울러 이태원 클럽 관련 외 확진자들도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확진자는 전국에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는데 서울 강서구 미술학원 강사 1명과 수강생인 유치원생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대구 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 발생한 확진자는 경북 구미시 엘림교회를 거쳐 목사와 신도, 주변 상인까지 총 8명이 연쇄감염됐다.

확진자 수가 다시 10명 대로 떨어지긴 했으나 'N차 감염'으로 전파 경로가 복잡해졌고, 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사례도 계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이달 초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종료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했으나 우려가 제기되던 유흥시설에서 전파가 대규모로 이뤄지며서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사실 이같은 결과는 어느정도 예견된 측면도 있다. 이미 싱가포르에서 서둘러 생활방역으로 전환했다 대규모 감염이 이뤄지면서 우리도 이같은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거리두기 참여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2030세대를 중심으로 긴장감을 섣불리 풀면서 지역사회 감염은 다시 증가 추세로 바뀌었다.

물론, 싱가포르의 사례처럼 폭발적인 증가가 발생하진 않았지만, 이태원 클럽발 감염 확산에 화들짝 놀라 다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생활방역의 전환은 아직은 절반의 성공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방자치단체는 클럽과 노래방 등 유흥시설에 대해 집합금지명령을 다시 내려 현재까지 유지 중이며, 방역당국은 확진자가 방문한 다중이용시설 이용자 등에 대해서 일제 검사까지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시행하지 않았던 마스크 착용 의무화도 확대된다. 이미 지하철은 시행 중이며 이날부터는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전국 버스와 택시, 철도 이용 시 승차 거부를 당할 수 있다. 항공 역시 국내와 국제선을 가리지 않고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다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물론 의견은 팽팽하다.

서울시가 지난 18일 발표한 긴급 여론조사(14~15일까지 2일간 리얼미터 의뢰,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전화조사방식으로 조사. 표본신뢰도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 결과를 보면 서울시민 59.2%는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유지하기를 원했다.
다만, 다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야 한다는 응답도 39.3%로 적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생활방역을 유지하면서 감염확산을 막아나가는 것이 방역당국의 기조지만 이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인 위생 등 기본부터 지키는 것이 필수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도 "K방역 성공의 핵심은 국민들의 자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지역사회 전체의 위험도와 감염규모를 줄여야 학생들도 안전하게 등교수업을 실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