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합참의장 "한강 경계 타지역과 달라, 당시 주야간 경계 없었다"

합참의장 "한강 경계 타지역과 달라, 당시 주야간 경계 없었다"
박한기 합동참모의장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0.7.28/뉴스1 © News1 성동훈 기자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이원준 기자 = 박한기 합동참모본부의장은 탈북민 김모씨(25)가 군경 감시망을 뚫고 월북한 사태와 관련 28일 김씨가 만조시간에 맞춰 구명조끼 등을 착용하고 머리만 내놓고 한강을 건넜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박 합참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에서 "경계작전 실패는 추호의 변명의 여지가 없다"면서도 한강 경계 작전의 특수성과 당시 시간 및 기상 상황 등을 들어 당시 김씨의 월북을 "식별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박 합참의장은 "한강 경계하는 것은 다른 지역과 차이가 있다"며 "한강을 끼고 경계를 서고 있는 지역은 GOP(일반전초)와 동일하게 과학화 경계체계가 완비된 지역으로 주야간 인원에 의한 경계초소는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 언론에 나온 초소도 주야간 경계를 서는 초소는 아니다"며 "또 밀물과 썰물이 교차해 시간에 따라 물높이가 수시로 변하는 지역적 특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박 합참의장은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해병대의 첫번째 주안점은 (북측) 대안(강 기슭)지역에서 우리 지역으로 물길이 형성될 때 그때 적의 침투를 핵심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라며 "두번째가 북한으로부터 귀순자를 포착하도록 시스템이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감시장비가 GOP와는 다르게 우리가 원하는 지역을 핀포인트로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며 "그 시간이 만조시기로 부유물이 떠오른 시기라 재월북 시도 인원이 구명조끼 등을 착용하고 머리만 내놓고 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입수된 화면을 봐도 식별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는 점을 현재까지 보고 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