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화웨이 스마트폰 독자 생존...해외 시장은 회의적

화웨이 스마트폰 독자 생존...해외 시장은 회의적
[워싱턴=AP/뉴시스]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7월 15일(현지시간) 워싱턴 국무부에서 기자회견하는 옆으로 모니터에 '화웨이' 로고가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최대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구글 안드로이드 대신 독자 개발한 운영체계(OS)를 쓰기로 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11일 SCMP에 따르면 위청둥 화웨이 소비자 부문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오후 광둥성 둥관시에서 연례 개발자 대회를 열고 내년부터 자사 스마트폰에 '훙멍' OS를 전면 지원한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용 훙멍은 올해 12월 공개될 예정이다.

훙멍은 화웨이가 자체 개발한 범용 OS로 스마트폰에서부터 TV, 컴퓨터,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제품에 쓰일 수 있다.

화웨이는 작년 8월 훙멍을 처음 공개했으나 스마트TV 등 일부 제품에만 우선 사용하고 스마트폰 적용은 미뤄왔다.

따라서 화웨이가 스마트폰에 훙멍을 도입키로 한 것은 미국 중심의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벗어나겠다는 의지를 표현으로 해석된다. 중국 정부는 미국과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제재 역시 오랫동안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안드로이드 체제도 그만큼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유튜브와 지메일 등 구글 앱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해외 시장에서 훙멍이 안드로이드를 대체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선 회의적이라고 SCMP는 전했다.

아울러 비축해둔 반도체 부품이 2021년 중반에 모두 소진되면 여러 사업 부문에서 공급망을 재설계해야 하는 생사기로에 있다고 해석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