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개월 이상 학자금 대출 연체 신용불량자 4만6195명
최근 5년 간 장기연체 인원·금액 각각 1.7배, 1.9배 증가
대출자에 불리한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비중 증가세
"취업 후 학자금 대출 늘려야"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학자금 대출로 시작된 청년빈곤이 신용불량과 파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6일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용인정)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학자금 대출 후 6개월 이상 이자를 연체한 신용불량자는 지난해 4만6195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간(2015~2019년) 장기연체 인원과 금액은 각각 1.7배, 1.9배 증가했다.
학자금 대출은 크게 ‘취업후 상환 학자금 대출’과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로 나뉜다.
‘취업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학자금 지원 4구간 이하인 경우 의무상환 개시 전까지 무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은 이자 지원이 없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의 경우 소득 발생 전까지 상환이 유예되고 소득 발생 시 국세청에서 원천징수해 미상환 연체가 발생하지 않지만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은 이런 제도가 없어 연체 이자가 발생하곤 한다.
문제는 학자금 대출 중 대출자에게 불리한 조건의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5년 간(2015~2019년) '취업후 상환 학자금 대출' 인원과 금액은 각각 0.36%(1조3705억원→8777억원), 0.27%(52만2847명 → 38만2886명)로 감소했다.
반면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인원 및 금액은 각각 1.4배(18만9832명→26만3802명), 1.3배(7549억원→9555억원) 증가했다.
2020년 6월 기준, 학자금 대출 후 6개월 이상 이자를 연체한 신용불량자는 4만7873명으로 이 중 94.6%인 4만 5311명이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자’였다.
대학 시절 학자금·생활비 대출로 시작된 청년빈곤 문제가 대학 졸업 후 만성적 취업난, 저소득, 저신용, 고금리 대출, 연체, 신용불량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고금리 대출에 발을 들인 청년층의 신용등급이 급격하게 나빠져 결국 ‘파산’에 이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대법원 자료에 따르면 전체 파산 사건은 줄고 있지만 유독 20대 파산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20대의 파산 접수 인원이 1.2배(691명→833명) 증가한 반면 전체 파산 신청은 15.4%(5만3801명→4만5490명) 감소했다.
이탄희 의원은 "정부는 취업난에 허덕이는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마련과 주거비 부담 완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특히 청년빈곤은 학자금 대출에서 시작되는 만큼 청년들의 부담 완화를 위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취업후 상환 학자금 대출을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8년 감사원에서도 '35세 이하 대학생에 대해서는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취업 후 상환하는 학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하라'고 지적한 바 있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