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비대면 시대' 은행 점포 축소… 금융사각지대 놓인 고령층 [디지털금융의 그늘 ]

피싱·착오송금·조작미숙 걱정
모바일뱅킹 꺼리고 지점 이용
점포 폐쇄 증가로 불편 호소

'비대면 시대' 은행 점포 축소… 금융사각지대 놓인 고령층 [디지털금융의 그늘 ]
#.서울 동작구에 사는 A씨(63)는 은행 업무로 늘 점포를 찾는다. 간단한 송금은 모바일뱅킹을 쓰지만 중요한 금융거래는 대면으로 물어야 안심이 된다.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 사용법도 배워봤다. 하지만 조작 미숙으로 개인정보 유출이나 착오송금이 걱정돼 사용이 꺼려진다.

#.충북 괴산 청천면에 사는 B씨(70)는 농협은행만 다닌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조작도 직원에게 맡긴다. 단골이던 우체국은행은 10년 전 문을 닫았고, 농협을 제외하면 주요 시중은행 중 괴산군에 점포는 없다. 모바일뱅킹 사용은 엄두도 못 낸다.

디지털금융과 코로나19 비대면 확산으로 고령층이 금융 사각지대로 내몰리고 있다. 금융당국의 '점포 축소 자제령'에 은행권 영업점 폐쇄에 일시 브레이크가 걸렸지만 경영합리화와 시대적 변화로 점포 축소를 막기는 역부족이다. 특히 고령자들은 인터넷피싱, 착오송금, 조작미숙에 따른 정보유출 등 '디지털 포비아(첨단 디지털기술 공포감)'에 시달리고 있다.

11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확산으로 고령층 금융 사각지대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지방 금융점포 축소가 가팔라지면서 지역 고령층의 어려움이 더 크다. 평생 은행점포를 이용하는 시대에 살았는데, 모바일뱅킹을 이용하기가 겁난다는 것이다. B씨는 "은행 직원은 설명을 해주는데, 모바일뱅킹에는 유의사항만 있어 상황마다 도움을 받을 수가 없다"고 두려움의 원인을 꼽았다. 애초에 스마트폰 조작 자체의 어려움도 크다고 했다. A씨는 "은행 앱을 까는 것부터 막막하다"며 "(깔고 나서도) 개인정보를 입력하라는데, 이래도 되는 건가 싶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은행 점포는 뚜렷한 감소세다. 배진교 정의당 의원이 금감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15년 말 3513개에 달했던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점포(지점+출장소) 수는 올해 8월 기준 2964개로 550개가량 줄었다. 연말까지 추가로 60곳 넘게 문을 닫을 예정이다. 그마저도 수도권 쏠림이 심했다. 지난 6월 기준 4대 은행 점포 3440개 중 수도권이 2160개(62.8%)를 차지했다.
서울에만 1397곳(40.6%)이 분포했다.

지난 7월 윤석헌 금감원장이 "점포 축소 자제" 언급 후 폐쇄 평가절차를 강화하는 등 제동을 걸고 있다. 하지만 한 은행 관계자는 "비대면화와 임대료, 인건비 등을 고려할 때 점포 축소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김태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