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을 비롯한 수도권 교육감들이 지난 8월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수도권 전면 원격수업 전환 발표를 위해 입장하고 있다./뉴스1 © News1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수도권 시·도교육청이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를 받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원격수업과 돌봄 관련 문제 등이 주요 질의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시·도교육청별로 논란이 됐던 사안들도 국정감사장에 소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시교육청 같은 경우 감사관 자녀 시민감사관 위촉 논란과 제주도연수원 건립 문제 등이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1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서울시교육청·경기도교육청·인천시교육청 등 수도권 3개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한다.
무엇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원격·등교수업 관련 사안이 국정감사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할 것이란 예상이다. 수도권 소재 학교 같은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비수도권보다 등교에 제약이 많았다.
특히 학생 사이 학습격차와 함께 학교별 교육격차를 두고도 수도권 시·도교육청을 향해 문제제기가 이어져 왔다. 원격수업 질과 쌍방향 수업 실시 비율이 지역뿐만 아니라 학교마다도 격차를 보인다는 지적이다.
또한 추석 특별방역 기간 이후 수도권 소재 학교도 교내 밀집도 기준이 3분의 2 이내로 완화되는 만큼 학교방역을 위한 추가 대책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날(14일) 0시를 기준으로 지난 5월 등교수업 시작 이후 전국 누적 학생 확진자 626명 가운데 72.0%인 451명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상황이다.
돌봄교실 급식 문제도 질의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경기도교육청 같은 경우 지난 8월 말 전면 원격수업 전환 이후 돌봄학생 학교급식 제공 미비 문제로 교원단체 사이에서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재정 경기도교육감·도성훈 인천시교육감 모두 진보 성향으로 분류된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전교조 합법화까지 겹치면서 야당 의원 사이에서는 이념 편향성 지적도 나올 수 있다.
국제중 지정 취소와 자사고·국제고·외고 일반고 전환 이슈가 나올 경우 야당 의원과 대립이 불가피하다. 이념에 따른 교육정책으로 교육 다양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시·도교육청별 과거 논란도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교육청 같은 경우 감사관 공익제보센터 소속 상근시민감사관이 자녀를 비상근시민감사관으로 위촉해 한 차례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또한 서울시교육청이 제주에 연수원을 설립하려다 예산 낭비 비판으로 검토를 철회한 일도 다뤄질 가능성이 크다.
논란 당시 서울시교육청은 연수원 건립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경기도교육청 같은 경우에는 1조7000억원에 이르는 정기예금이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인천시교육청을 두고는 미추홀구 초등생 형제 화재 사고와 관련해 돌봄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