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감사 통해 관리·설계·시공 등 책임소재 따져야
호남고속철도의 지반과 노반 침하가 심각하다는 전수조사 결과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사진=fnDB
【파이낸셜뉴스 전주=김도우 기자】 호남고속철도의 지반과 노반 침하가 심각하다는 전수조사 결과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김윤덕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전북 전주갑)은 15일 국가철도공단과 코레일을 대상으로 진행 된 국정감사에서 지반공학회가 용역을 수행한 ‘호남고속철도 노반안정성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일부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호남고속철도의 토공 구간 55.6km 중 12.5km(22.4%) 구간이 허용 침하량(30mm)를 초과하는 지반 침하가 발생하고 있다.
허용 침하량을 초과한 22.4% 구간의 평균 침하량은 46.7mm이며, 최대 침하는 무려 140mm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호남고속선 교량과 터널 등에서도 노반 침하가 진행 중에 있다.
터널과 교량 55개, 연장 40.18km에서 허용 침하량을 초과중이다.
가장 침하가 큰 구간은 112mm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경부고속철도의 경우 허용침하량(30mm)를 초과하는 구간은 3.75%에 불과하다.
김윤덕 의원은 “호남고속철도 지반 침하의 심각성을 처음으로 수치로 확인했다” 라며 “지반과 노반 침하가 진행 중인 것보다 더 큰 문제는 복원 방법 및 범위에 대한 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 시공사간 이견으로 하자보수가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감사원 감사를 통해 관리,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분야별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보강과 유지보수 방안을 즉시 마련해 실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964425@fnnews.com 김도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