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접종 후 사망…상호 인과성 낮아“
도내 23일 오후 5시 기준 접종률 35.63%
제주에서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사망자가 발생한 21일 오후 제주보건소 접종 접수 창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A(68)씨는 지난 19일 제주시 소재 민간 의료기관에서 독감 백신을 접종한 뒤 이날 새벽 0시10분께 숨졌다. 2020.10.21. [뉴시스]
【제주=좌승훈 기자】 제주도는 24일 질병관리청의 방침에 따라 제주지역에서도 인플루엔자(독감) 예방 접종을 중단 없이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독감 백신을 맞은 뒤 사망한 사례와 백신 접종 간의 직접적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접종을 일정대로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자는 이날 오후 1시 기준 48명으로 집계돼 전날(36명)보다 12명 늘었다. 연령대를 보면, 70대가 23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80대 이상 18명, 60대 미만 5명, 60대 2명이다.
이에 대해 예방접종전문위는 우선 1차로 사망자 26명에 대한 사인을 검토한 결과, 접종과의 인과 관계가 매우 낮아 특정 백신을 재검정하거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단계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예방접종 피해조사반도 회의 결과, 시간적 근접성·기저질환·부검 결과 등 사망에 기여할 다른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사망과 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고 독감 백신 자체에 문제는 없다는 데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같은 날 같은 의료기관에서 동일 제조번호 백신을 접종한 다른 접종자인 경우에도 중증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점도 고려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도는 지난 21일 도내에서 녹십자사의 ‘지씨플루코드리밸런트(Q60220030)’ 백신 접종 후 기저질환을 앓고 있던 A(69·남)씨가 사망한 것과 관련해 접종과의 인과성을 판단하기 위한 역학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접종 지속 여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 “접종 중단 단계 아냐”…안전수칙 강화 예방접종
도가 제주도의사회를 비롯해 감염병관리지원단, 제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등 도내 의료 전문가들로부터 자문을 받은 결과, 향후 증상이 비슷한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twindemic)에 따른 의료체계 붕괴 차단을 위해서도 국가예방접종 추진 방침에 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접종할 독감 백신을 준비하고 있는 의료진. 2020.10.22 [뉴시스]
도는 지난 6월 도지사 특별명령을 통해 전 도민 무료 독감접종 지원사업에 나섰다. 관련 지원 조례의 제정과 함께 추경을 통해 100억원의 예산도 확보한 가운데, 지난 13일부터 전 도민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독감) 무료 예방접종을 지원해 왔다.
하지만 독감 백신 의심 사망자가 나오면서 지방정가와 의료계 일부에서는 “백신이 아무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 납득가지 않는다. 많은 도민들이 우려하는 상황이라면, 당장이라도 전수조사하고 안전성이 입증될 때까지 중단해야 하는 게 아니냐”며 '일시 접종 중단' 목소리를 높여 왔다.
실제로 도내 민간 위탁의료기관 72곳에서는 23일 오후 대한의사협회의 백신 접종 1주일 보류 방침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도에 밝혀왔다.
이에 대해 배종면 도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은 “건강한 성인인 경우에는 예방 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향후 의료체계 붕괴 차단 등 더 큰 피해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며 “단 70세 이상 고령자이면서 기저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관련 병·의원 의사와의 상담과 진찰을 통해 예방 접종 실시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임태봉 도 보건복지여성국장은 “예방 접종 후 발열, 무력감, 근육통 등 이상 반응이 발생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이 필요하다”며 “수 시간 내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식 관할 보건소나 병·의원으로 신고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제주지역에서는 지난 23일 오후 5시 기준 24만7799명이 독감 예방 접종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제주도민 69만5519명의 35.63% 수준이다.
jpen21@fnnews.com 좌승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