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정부 주도 회의에서 시장전문가들은 미국 대선(11월 3일), 글로벌 자산가격 상승, 금리 반등·원화강세 가능성 등을 주요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금융위원회는 28일 김태현 사무처장 주재로 '제27차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선 11월 3일 미국 대선 등 대외 리스크 요인과 저신용등급 회사채·기업어음(CP) 발행동향 및 리보(LIBOR·런던 우량은행간 단기 자금거래 금리) 금리 산출중단 등의 주제에 대해 시장전문가들과 의견을 교환했다.
한 전문가는 "미국 대선은 선거결과 불투명성 자체가 큰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선거결과에 따라 경기부양책 규모, 조세정책 및 회복속도 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로 자금공급을 확대했지만 비우량등급과 우량등급 간 온도차가 있다는 시각이다.
회사채와 단기자금시장(CP, 단기사채)간 회복속도에도 차이가 있다.
비우량 등급 회사채는 스프레드가 6월이후 지속 하락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우량물에 비해 하락속도가 더디며, 발행금액이 전년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취약업종은 수요예측 미달이 10월 3건 발생하기도 했다.
2022년부터 리보금리 산출이 중단될 예정이어서 금융업권은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테스크포스(TF)를 구성·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이날 회의에서 각 금융회사가 신규계약 및 기존계약에 대체조항을 반영하는 작업을 추진중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은 "리보중단이 리스크 관리, 대고객 관계, IT·회계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금융기관이 전사적 관심을 갖고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