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울시
[파이낸셜뉴스] 서울시는 '우리동네키움센터'가 지난 2018년 6월 성북구 장위동 1호점을 시작으로 2년 5개월 만에 100호점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우리동네키움센터는 맞벌이 부부나 한부모 가정 등의 초등학생 자녀 방과 후, 방학, 휴일 '틈새보육'을 메우기 위한 서울시의 보편적 초등돌봄시설이다.
100번째 우리동네키움센터는 서울 자양로에 있는 '광진3호점'으로 18일 정식 개소한다. 기존 지역아동센터를 우리동네키움센터로 전환해 지역사회와 협력·상생하는 '융합형 키움센터'로 탄생했다. 연면적 326㎡(지층~2층)으로 일반형 키움센터(66㎡)에 비해 규모가 크고, 학기 중 13시~20시까지 운영된다. 저녁급식도 무료로 제공된다.
올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우리동네키움센터'가 긴급돌봄 해결사 역할을 하고 있다. 학교도 문을 닫고 부모님도 모두 출근해 돌봐줄 사람이 없는 아이들을 위해 모든 센터가 오전부터 문을 열고 긴급돌봄을 제공하고 있다. 일부 센터에선 아이들이 온라인 수업을 듣거나 점심 도시락을 먹을 수 있도록 지원 중이다.
코로나19 이후 돌봄 고민이 커지고 있던 학부모들에게 입소문이 나면서 작년 말 68%였던 정원 대비 등록률은 90%(10월말 기준)에 육박할 정도로 높아졌다.
아울러 각 센터별로 마을공동체와 연계된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하면서 지역단위 돌봄거점으로도 진화하고 있다. 예컨대 종합사회복지관 내 '구로3호점'은 어린이집, 노인시설 등 복지관 이용대상자가 함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서울시는 오는 2022년까지 집이나 학교에서 걸어서 10분 거리마다 총 400개소의 '우리동네키움센터'를 확충해 보편적 돌봄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25개 자치구에 총 197개소가 설치 확정됐고 이중 100호점을 포함해 100개소가 운영 중이다.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우리동네키움센터 1호를 개소한지 2년 5개월, 본격적으로 확충을 시작한지 2년이 채 되지 않았음에도 100호를 돌파하며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긴급돌봄으로 학부모들에게 입소문이 나면서 돌봄공백 해결사로 자리매김 중"이라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