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요시!" "스코모!" 서로 애칭 부른 일본·호주 정상 [도쿄리포트]

일-호주, 정상회담, 대중국 포위망 강화  
호주 총리, 귀국 후 2주 격리에도 日방문
스가 총리 취임 후 첫 외국 정상 
美바이든 정권 출범 전 '인도태평양 구상' 결속 강화 

"요시!" "스코모!" 서로 애칭 부른 일본·호주 정상 [도쿄리포트]
지난 17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오른쪽)와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정상회담 시작에 앞서 코로나19 방역 차원에서 악수 대신 팔꿈치 인사를 나누고 있다. 모리슨 총리는 스가 총리 취임 후 일본을 방문한 첫 외국 정상이다. 로이터 뉴스1

【도쿄=조은효 특파원】 "요시!", "스코모!"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서로의 이름을 줄인 애칭을 부르며, 밀월관계를 과시했다.

18일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두 정상은 전날 도쿄 총리관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대중국 포위망'인 인도·태평양 구상을 한층 강화할 것을 강조하며, 미·일·인도·호주 등 현재 4개국 '쿼드'(Quad)가 틀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미국 바이든 정권에서도 대중국 견제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전열 정비 차원에서 일·호주 두 정상이 선제적으로 분위기 조성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호주 총리 귀국 후 2주 격리에도 日방문
모리슨 총리는 스가 총리 취임 후 일본을 방문한 첫 외국 정상이다. 호주 코로나19 방역 규칙상 총리도 예외없이 외국 방문 후 14일 격리에 들어가야 하는 부담이 있음에도 일본 방문을 감행했다. '왜 이 시점에 일본을 방문하는가'에 대해 지난 12일 모리슨 총리는 "스가 총리와 처음으로 만나는 정상이 되는 게 중요하다"며 "일본과 호주는 경제, 무역, 문화, 사회적 관계에 그치지 않는 전략적 관계다"라고 강조했다. 스가 총리도 취임 후 첫 정상간 통화 상대로 모리슨 총리를 택했다. 두 나라는 인도·태평양 구상의 핵심 참여국이다.

미국을 위시해 양자간 밀착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요시!" "스코모!" 서로 애칭 부른 일본·호주 정상 [도쿄리포트]
지난 17일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도쿄 총리 관저에서 공식 환영행사 시작에 앞서 팔꿈치 인사를 나누고 있다. AP뉴시스

코로나 우려를 뚫고 일본에 도착한 모리슨 총리는 전날 정상회담 모두에서 "이제부터 스가 총리를 '요시'라고 부르겠다"며 친근감을 드러냈다. 또 자신의 이름 '스콧 모리슨'을 줄여 "스코모라고 불러달라"고 했다. 마치, 1980년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총리와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서로의 이름을 불러가며, '론-야스' 밀월관계를 형성했던 처럼, 일·호주 정상도 친밀함을 과시하고 있는 것이다.

■바이든 정권 출범 전 대열 정비
두 정상은 이날 회담을 통해 일본 자위대와 호주군의 '공동훈련 등에 관한 원활화 협정'(RAA)을 체결하기로 큰 틀에서 합의했다. RAA를 체결하면 공동훈련을 위해 상대국 영역에 들어갈 때 무기류 등의 반입 절차가 간소화된다. 스가 총리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공헌하는 일·호 양국의 의지를 강력하게 떠받칠 것"이라고 합의의 의미를 강조했다. 또 "호주는 기본적 가치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특별한 파트너"라며 양국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실현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 바이든 정권이 출범하기 전에, 해양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중국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두 정상은 경제 분야에서도 특별한 전략적 제휴 관계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도 일·호주는 수소 공급,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 온난화 문제에도 보조를 맞추고 있다.

중국과 호주는 특히, 올해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긴장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일본으로 달려간 호주를 향해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호주에는 중국의 발전을 위험으로 간주하고 냉전적 사고방식을 고수하며 이념적 편견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며 "중국과 관련해 몇 가지 잘못된 조치를 했고, 이것이 중국과 호주의 관계가 악화한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호주가 신장 위주르자치구 내 재교육 수용소 철폐, 홍콩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촉구한데 이어 미국과 함께 화웨이 중국을 겨냥 코로나 발원지에 관한 국제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점 등을 일일이 열거했다. 앞서 5~6월 중국 정부는 호주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로 호주 일부 도축장에서 생산된 쇠고기 수입 금지, 호주산 보리에 고율 관세 부과, 호주 유학·관광 자제령 등을 내렸다. 이 외에도 호주산 석탄 및 랍스터 중국 수출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