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25억 반납, 나머지 45억 대안사업 투입 예정
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이 22일 오후 기자회견을 갖고, 5년을 끌어온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 국비 25억원을 반납키로 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진=대구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구=김장욱 기자】 5년간 공방을 벌이던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이 결국 좌초됐다.
사업 자체가 무산되면서 어렵게 확보한 국비마저 반납하게 됐다.
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22일 오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국 최장 타이틀을 걸고 추진하던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을 전격 철회키로 했다고 밝혔다.
박 국장이 밝힌 사업 철회의 결정적 요인은 지난 8일 대한불교 조계종의 '동화사 수행 스님의 수행환경 저해'다.
조계종 측은 지난 8일 이같은 내용의 '구름다리 설치사업 철회 요청 공문'을 시에 보냈다. 시는 그동안 동화사가 사업을 반대하지 않는다며 사업 강행 의사를 밝혀왔지만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마지막 절차인 사업자 계약을 앞두고 갑자기 조계종 측으로부터 제동이을 걸렸다.
이에 구름다리 사업에 찬성하는 팔공산 상인들이 동화사에서 항의 집회를 벌이는 등 또 다른 갈등이 빚어지기도 했다.
공문을 접수한 시는 '수행환경에 지장 요인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보완하겠다"며 의지를 표명하며 수차례 다각적으로 조계종 설득에 나섰지만 조계종 측은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
사업추진 방향과 관련, 시민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설문조사 실시 및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또 법조계, 학계, 언론 등 지역 각계 인사가 참여하는 자문회의 시(18일) '조계종이 동의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사업추진이 어렵다'는 의견과 '잠정유보해 재추진할 경우 새로운 갈등 유발 등 시민 피로감이 높아진다'는 의견 등을 이유로 사업철회를 결정했다.
박 국장은 "사업을 지속할 수 없다고 보고 국비 25억원을 반납하기로 했다"며 "나머지 국비 45억원(균특 전환금)은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시도 포괄보조사업 목적에 맞게 대한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총사업비 180억원:국비 70억, 시비 110억)은 팔공산 정상의 케이블카에서 낙타봉까지 폭 2m, 길이 320m 규모의 다리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시는 교통약자 관광 서비스 제공,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2015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했다. 2017년 기본 실시설계 용역을 추진하며 사업을 본격화 했는데 환경 보호 등을 주장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이후로도 시와 시민사회단체들의 갈등은 계속 이어졌다.
한편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등 9개 시민사회단체는 '대구시의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 철회를 적극 환영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서를 내고 "지난 5년간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의 강행의지를 보였던 시가 불교계와 지역 시민사회를 통한 대구 시민들의 반대 의견을 수렴, 사업철회를 결정한 것에 환영과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팔공산 구름다리에 배정된 예산은 구름다리와 같은 토목개발 사업이 아닌 팔공산의 역사, 지질, 생태 가치를 알리는데 집행하라"고 촉구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