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강남시선] 이재명 스타일

[강남시선] 이재명 스타일
그의 말과 글은 직선이다. 우회화법은 찾아볼 수 없다. 단도직입적이다. 그는 무사적 지식인의 표본이다. 과녁에 정확하게 꽂히는 그의 메시지는 그래서 간결하고 매섭다. 무사는 상대방에 대한 고도의 집중력으로 목표를 완수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문사적 지식인들이 자기방어와 회피에 능한 것과 결이 다르다. 양비론과 상투성에 기대지 않는다. 자신만의 스타일로 승부를 건다. 이재명은 한국 정치에서 '이재명 스타일'이라는 낯선 풍경을 만들었다. 주류의 엄숙주의를 깨고 그만의 날렵하고 유연한 자세로 주류의 벽을 허문다.

그를 지지하는 열혈팬들과 그를 비난하는 그룹이 선명히 나눠지는 지점도 여기다. 의지와 열정이 넘쳐 간혹 오해를 부르지만 실상 그의 메시지는 단순하다. 국민에게 철저히 복무하겠다는 자세다. 기본소득 도입을 위해 경제관료들과 설전을 벌이는 그의 모습은 정치권에서 볼 수 없는 희귀한 사례다. 과거 노무현 대통령 이후 찾아볼 수 없는 유형이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과격하다거나 급진적이라는 주장은 대단히 표피적이다. 최근 그와 인터뷰를 하면서 느낀 것은 그가 철저한 질서신봉자이자 합리적이라는 사실이다. 주어진 질서에서 최대한의 성과를 만들자는 것이 그의 소박한 바람이다. 다만 공정경쟁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기본 전제가 깔려 있다. 공론장을 지배하는 담론의 방식은 체제 순응적이고, 기계적 중립성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여기서 조금이라도 이탈하면 급진적, 이단아로 치부된다. 한국사회에서 그의 말과 글이 급진성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하는 건 이런 맥락이다. 좌고우면하지 않고 핵심으로 곧장 돌진하는 그의 메시지는 그래서 강력한 물질성과 파괴력을 동반한다.

3차 재난지원금 지급부터 공공장기임대주택, 포용금융, 공정경쟁시스템 구축까지 그의 정책 추진은 거침이 없다. 오랫동안 고질병을 앓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의 민낯을 철저히 도려내려 한다. 기득권의 저항은 그가 헤쳐가야 할 장애물이다. 부동산정책의 혼란과 난맥상은 정책의지의 부족이라는 게 그의 판단이다. 개혁성의 후퇴이자 기득권 눈치보기에 급급한 결과다. 판을 바꿀 수 있는 상황임에도 하지 못하는 것은 의지의 결여다. "난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정책은 정책 담당자들의 의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그래야 국민이 믿고 따를 수 있죠." 여기에 그의 모든 정치적 목표가 집결된다.

정치인을 비롯해 고위공직자들이 국민에게 신뢰를 못 받는 이유는 정책의 당파성이 부족해서다. 당파성은 옳은 방향에 투신하는 걸 말한다. 중용은 철저히 당파성을 뜻한다. 기계적 중립이 아니라는 얘기다. 진영논리로 접근할 문제는 더더욱 아니다. 무엇보다 관료사회의 개혁을 주문하는 이유도 그래서다. 관료는 다른 사회집단보다 독자적인 권력이 강하다. 정책을 이해관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는 힘이 존재해서다. 인사권으로 이를 통제하지 못하면 정부조직은 무너진다는 게 그의 소신이다.
무엇보다 정책의 완성도와 조직의 창조성을 유독 강조하는 이유다.

이재명은 차기 대선주자 여론조사에 1, 2위를 다툰다. 그의 과감한 개혁성과 청사진이 국민에게 호소하는 바가 많다는 방증이다.

ktitk@fnnews.com 김태경 정책사회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