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14개 시·도 국가혁신클러스터 2단계 사업 1812억 투입

산업부, 1단계 사업비 1717억보다 5.5% 증가

14개 시·도 국가혁신클러스터 2단계 사업 1812억 투입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 사업단계별 지원 규모.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파이낸셜뉴스] 지역성장 거점으로 육성하는 14개 시·도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 2단계 사업비 총 1812억원(국비 1306억, 지방비 506억)이 연구개발(R&D), 비R&D에 투입된다. 이는 1단계 사업비 1717억원보다 5.5% 늘어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도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14개 시·도별 2단계(2021~2022년)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은 1단계(2018∼2020년), 2단계(2021∼2022년), 3단계(2023∼2027년)로 진행된다.

14개 시·도 국가혁신클러스터는 △미래차·항공 분야 울산(초소형 전기차), 경북(전기차 부품), 세종(자율차 서비스), 경남(항공 부품) △바이오헬스 분야 대구(지능형 의료기기), 강원(디지털 헬스케어) 전북(스마트 농생명), 제주(화장품 및 식품) △에너지신산업 분야 충남(수소에너지), 광주(에너지 및 미래차), 전남(에너지신산업), 충북(에너지 첨단 부품)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분야 부산(해양 ICT 융합), 대전(스마트 안전산업)이다.

국가혁신클러스터사업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의 혁신도시, 산업단지, 경자구역, 산업기술단지, 기업도시, 연구개발(R&D)특구 등 혁신거점들을 연계해 지역 신 성장거점을 육성하는 균형발전사업의 핵심과제다.

R&D 사업비는 1단계 대비 14.5%가 늘어난 1134억원(14개 시도당 81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분야도 대규모 지정과제 이외에 지역기업의 의견반영이 강화된 소규모 수요맞춤형 과제(기업수요 대응 품목만 지정하고 구체적인 목표·방법 등은 기업이 제안)도 추가된다.

비R&D 사업은 투자 유치, 글로벌협력, 사업화지원 등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 이외에 지역 여건과 수요를 반영한 기술이전 지원 등 시·도별 자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편 1단계 사업에서는 국비 1203억원이 투입돼 122건의 중핵기업 유치와 649명의 일자리 창출, 1446억원의 사업화 매출 발생 등 혁신도시 중심 지역 성장거점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기업유치 122건의 38.5%(47건)가 수도권 기업으로 기업의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산업 활성화에 기여했다.

신규 일자리 649명 중 정규직이 87.2%, 청년 일자리가 70.0%로 고용의 질적 수준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1446억원의 매출이 발생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