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접종에서 뒤처진 아시아 선진국들이 미국과 유럽에 크게 밀리며 고전할 것으로 우려됐다. 사진은 미국 국기를 배경으로한 미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앤테크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사진=로이터뉴스1
아시아 지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가 미국과 유럽에 비해 크게 더뎌 경제회복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이하 현지시간) 경고했다.
또 지난해 팬데믹 기간 방역에 치중해 모범이 됐던 아시아 모델은 백신 접종에서 크게 뒤지면서 백신 개발에 주력한 서구 모델에 팬데믹 극복 승자 자리를 내주게 될 것이라고 WSJ은 전망했다.
WSJ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인구 100명당 백신 접종자 수가 38명, 유럽연합(EU)은 13명이다. 그러나 아시아 선진국에서는 2명도 채 안된다.
여러 종의 백신을 자체 개발한 중국이 100명당 6명에 못미치고 있고, 한국·일본·호주 등 아시아 지역 선진국들은 중국보다다 뒤져 100명당 2명도 안된다고 WSJ은 전했다.
지난해 팬데믹 확산세 속에서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휠씬 더 좋은 방역성과를 보였던 이들 나라가 지금은 백신 접종 속도에서 미국 등에 크게 뒤지면서 경제 성장세에도 먹구름이 드리웠다.
WSJ은 한국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었다.
2019년말~2020년말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2% 정도 감소했다. 팬데믹으로 각국 경제가 죽을 쑨 것과 비교하면 국제적인 기준으로 매우 탄탄한 성적이다.
그러나 이는 수출이 1.2%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내수는 형편없었다.
개인소비지출은 6.5% 감소해 미국의 감소폭 3.4%보다 훨씬 좋지 않았다.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면서 경제회복 속도 간극은 더 벌어질 전망이다.
또 더딘 백신 접종 속도에 따른 미국과 성장 격차로 인해 아시아 국가들은 심각한 경제적 충격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지금 당장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제로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다짐하고 있지만 미 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며 팽창으로 접어들면 금리 인상을 비롯해 연준의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선회하게 된다.
미국의 긴축 선회는 아시아 국가들, 특히 달러표시 부채가 많은 나라들에는 재앙이 될 수 있다.
연준이 긴축으로 돌아서면 한국은행 등 아시아 각국 중앙은행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에 빠질 수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높아져 금리차를 노리고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 유입됐던 자본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이 불가피해진다. 그러나 백신 접종 부진으로 경제가 완전한 회복 국면에 들어서지 못한 상태라면 이는 경제 상황을 더 어렵게 하는 자충수가 된다.
또 달러표시 부채가 많은 국가들은 경제가 회복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채 부담이 크게 증가하며 경제에 짐이 된다.
WSJ은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적고, 이에따라 강력한 봉쇄 압박이 적은 나라들은 백신 접종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부담이 적었겠지만 이제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WSJ은 막대한 돈을 들여 백신을 자체 개발하고 제조하는 대신 공급이 제한된 수입에 의존하기로 한 아시아 선진국들은 결국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WSJ은 이어 2020년 팬데믹 극복 모델은 결국 방역에 치중한 아시아 모델에서 백신 개발에 주력한 서구 모델에 승자 자리를 내주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