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한국전쟁 부상병들이 통도사에 터 잡은 이유는?

[파이낸셜뉴스] 부산이 피란수도 역할을 했던 한국전쟁 당시 통도사가 부산 동래 31육군병원 분원이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소중한 자료들이 공개된다.

채영희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단장을 맡고 있는 부산시 피란수도 구술채록사업단은 7일 한국전쟁 부상자를 동래 31육군병원이 다 수용하지 못하자 통도사가 군병원으로 쓰였다는 국방부의 1951년 문건을 비롯한 연기문, 낙서, 구술 인터뷰 자료 등을 소개하는 온라인 시민강연회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전쟁 때 통도사 주변에 살았다는 김용길 할아버지(87)는 사업단과의 인터뷰에서 “그 때 통도사 용화전에는 환자들이 벽에 엉망으로 낙서를 해놓고 대광면전에는 부처님을 삐딱하게 돌려놓고 환자들이 그 위에 올라타고 눕고 그랬다”며 당시 혼란스러웠던 군병원의 생생한 목격담을 전했다.

사업단에 따르면 대광명전 벽에서 발견된 ‘가노라 통도사야 잘 있그라 전우들아’ 같은 낙서를 비롯해 부상병들이 경내에 남긴 낙서들이 당시 애환을 고스란히 전해준다.

사업단이 채록한 곽경택 영화감독의 부친인 곽인환 할아버지(87)의 증언도 가슴을 울린다. 부산 피란수도 시절 그는 19세에 진남포에서 피난 내려와 부산 남구 우암동 소막사에 정착해 의사가 되고 아이들을 키워낸 열정적인 삶을 들려줬다.

피란수도 부산 구술 채록 사업은 부산시 지원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이번 강연회는 부산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는 피란수도 부산의 역사적, 세계유산적 가치를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시민강연회는 ‘피란수도 부산의 기억과 기록’을 주제로 채영희 단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심민정 연구원의 ‘동래 31육군병원과 통도사 분원’ 강연과 주현희 연구원의 ‘거제도의 피란민 교육’ 강연에 이어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채 단장은 “피란수도 때 부산에 사셨던 주위 분들이나 피란민들의 치열했던 삶을 보여주는 자료를 적극 제보해주시면 부산의 소중한 역사자료로 보존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전쟁 부상병들이 통도사에 터 잡은 이유는?
▲부산 피란수도 구술채록사업단 시민강연회 포스터.


defrost@fnnews.com 노동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