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스가 정권 "취소는 선택지에 없다"...정권 연장용 '승부수' [도쿄올림픽 D-50]

호주 소프트볼 대표단 입국 
"선수단 입국 뉴스 증가하면, 분위기 반전될 것" 
"올림픽이 가까워지는 게 실감" 
개최 취소시, 스가 정권 퇴진 가능 

스가 정권 "취소는 선택지에 없다"...정권 연장용 '승부수' [도쿄올림픽 D-50]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AP뉴시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도쿄올림픽이 5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 정부가 "취소는 선택지에 없다"며 그대로 강행할 것임을 재확인하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의 정치적 운명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도쿄올림픽 취소를 내거는 날에는 코로나19 대응 실패, 백신 정책 실패, 그로 인해 도쿄올림픽 개최까지 완수하지 못했다는 이른바 '실패 낙인'이 찍혀 결국 권좌에서 끌려내려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결국 정치적 목적을 위해 올림픽 강행이 최선이란 답을 얻은 것인데, 이미 일본 내에서 영국형과 인도형이 결합된 새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까지 확인되고 있어 이대로 올림픽을 개최해도 되는 것인지 일본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대회 개최 실감"
도쿄올림픽 출전 선수단 가운데 지난 1일 소프트볼 여자 호주 국가대표팀이 일본에 가장 먼저 도착, 도쿄 인근 군마현 오타시에 머물며 현지 적응 훈련에 들어갔다. 이날부터 일본 올림픽 선수단에 대한 백신 접종도 개시됐다. 2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총리 관저 고위 관계자는 올림픽 개최에 대해 "취소는 선택지에 없다"고 단언했다. 또 다른 고위관계자는 호주 선수단의 입국이 올림픽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드디어 그런(되돌릴 수 없는)시기가 됐다"고 말했다.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도 "대회가 가까워지고 있다는 게 실감된다"고 밝혔다.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간부 역시, "앞으로 올림픽 선수단들의 입국 뉴스가 증가하면 분위기가 바뀔 것"이라고 기대했다. 올림픽 개최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불안감, 취소 요구에도 일본 정부가 강행으로 생각을 굳힌 것이다.

스가 정권 "취소는 선택지에 없다"...정권 연장용 '승부수' [도쿄올림픽 D-50]
지난 1일 일본 나리타국제공항에 호주 소프트볼 올림픽 선수단이 입국하고 있다. 로이터 뉴스1
변이 코로나 확산 對 백신 속도전
스가 총리는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으면, 올림픽 반대 여론도 자연히 약화될 것이란 계산을 하고 있다.

이미 6월 중순부터는 하루 100만회 백신 접종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중앙 정부 접종(모더나)과 지자체 접종(화이자)로 이원화 했으며, 오는 21일부터는 도요타 등 대기업, 대학 단위에서도 지자체 접종 순서를 기다리지 않고 별도로 백신 접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변이 코로나 역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기존 코로나에 비해 감염력이 강한 영국형 변이 코로나가 이미 도쿄 내 신규감염의 약 80%이상이다. 효고현 고베시에서는 일본 내에서는 처음으로 영국형 변이에 인도형 변이 일부가 결합된 새 변종 코로나가 발견된 상태다.

스가 총리가 코로나 확산 리스크를 짊어지면서 올림픽 개최를 고집하는 이유에 대해 일본의 원로 언론인 다하라 소이치로는 "자민당 간부는 도쿄올림픽이 취소되면, IOC가 손해 배상을 요구해 올 것이란 이유를 대고 있지만 (나 자신은)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스가 총리는 올림픽 취소를 내거는 것이 곧 스가 내각의 중단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올림픽 개최 취소가 곧 실패로 받아들여지면서, 자민당 실세들이 '간판 바꾸기' 즉, 새 총리감 물색에 나설 것이란 얘기다.

스가 총리로선 차라리, 올림픽 개최로 승부수를 띄우는 편이 낫다고 본 것이다. 운이 좋으면 '인류가 코로나를 극복한 올림픽'을 완수했다는 성과를 거머쥘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9월 자민당 총재 선거에 나가, 일본 총리직을 계속하겠다는 것이다.

올림픽 포기시에는 경제적으로 포기해야 할 비용도 만만치 않다. 일본의 대표적인 민간 경제연구소인 노무라종합연구소는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을 취소시 경제 손실을 1조8108억엔(약 18조6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여기에 IOC가 입은 손해 비용까지 떠안을 수 있다는 게 또 다른 잠재 리스크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