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기획단장)이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국제박람회기구(BIE) 사무국을 방문해 2030 부산 월드엑스포 유치신청서를 접수하고 있다. 오른쪽은 박형준 부산시장./사진=뉴스1
2030년 부산 월드엑스포 유치의 대장정이 돛을 올렸다. 정부와 부산시 대표단은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국제박람회기구(BIE) 사무국을 방문해 유치 신청서를 제출했다. 5년 개최 주기의 '등록 엑스포' 유치에 성공하면 올림픽, 월드컵에 이어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를 모두 여는 7번째 국가가 된다. 1993년 대전 엑스포, 2012년 여수 엑스포는 주제와 규모가 제한된 '인정 엑스포'였다.
부산시는 대대적 재개발을 추진 중인 부산 북항 일대에서 6개월간 엑스포를 개최하면 200개국에서 외국인 관광객 1273만명을 포함해 모두 5050만명이 부산을 찾아 입장료 수입만 2조5000억원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총사업비는 4조8995억원이지만 생산 유발효과 43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8조원 등 모두 61조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했다.
50만명 이상의 일자리도 창출될 전망이다. 21세기형 고부가가치 산업인 마이스(MICE) 산업과 여행·관광, 문화·예술·공연 분야 등에서도 혁신 생태계가 조성되고 K팝·K무비 등 한류의 세계적 전파가 예상된다. 대한민국과 부산의 미래 발전을 위한 모멘텀이 마련되는 것이다.
개최지는 2023년 11월 169개 회원국의 비밀투표로 최종 결정된다. 유치 경쟁도시는 지난 4월 신청서를 낸 러시아(모스크바)를 비롯해 중국(정저우), 이탈리아(로마), 스페인(바르셀로나), 프랑스(파리) 등이다.
정부와 부산시는 김영주 전 한국무역협회장을 유치위원장으로 추대했다. 삼성·SK·LG·현대차·롯데 등 5대 그룹 총수가 공동 부위원장을 맡는 거버넌스형 유치체제를 갖췄다.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부유치지원위원회와 국회유치지원특별위원회도 출범시켜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월드엑스포 유치를 대한민국의 경제·문화 선진국 도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우리가 보유한 첨단기술과 제품의 판로개척은 물론 바르셀로나·마르세유·시드니를 능가하는 해양수도 부산의 해양산업 경쟁력을 전 세계인에게 보여줄 기회이기도 하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