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광주광역시, '광주의료원' 건립 '속도'

건립부지 확정...예타 면제 집중

광주광역시, '광주의료원' 건립 '속도'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가 코로나19를 계기로 감염병·재난·응급상황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의료 안전망 구축과 공공보건의료체계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광주의료원' 건립 부지를 확정하며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4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광역시의료원' 건립 부지를 서구와 광산구 경계에 있는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 내로 최종 결정했다.

의료원은 사업비 약 1500억원을 투입해 350병상 내외로 건립될 예정이다.

건립부지는 정부의 진료권역 분류, 시민대표·시의회·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광주광역시의료원 설립추진위원회' 자문, '광주광역시공공보건지원단'의 제안, 용역검토 사항 등을 종합해 접근성, 경제성, 확장성, 시급성, 개발 용이성 및 의료 취약지, 응급환자 이송 편의성, 대중교통 접근성 등을 감안해 결정됐다.

의료원 건립 부지가 최종 결정됨에 따라 '광주광역시의료원' 건립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에 힘을 집중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

광주시는 그동안 필수 공공의료 체계 구축 및 지역 공공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 의료기관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 2020년부터 민관합동 토론회, 정부부처 방문, 타당성조사용역 착수 등을 통해 '광주광역시의료원' 설립을 추진해 왔다.

의료원 설립은 △의료자원 공급측면 △지역 공공의료체계 완결성 △의료이용 격차해소 및 의료안전망 강화 △예방적인 만성질환 관리사업 등 네 가지 측면을 고려하고, 궁극적으로 광주시민의 건강권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광주시는 조속한 의료원 설립을 위해 오는 9월께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 등 중앙부처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요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특히 특·광역시 중 의료원이 없는 울산광역시, 지역 국회의원, 시의회, 시민단체 등과 적극 협력해 모든 노력을 경주할 계획이다.

김종효 행정부시장은 "광주의료원은 응급상황 및 감염병 등 재난 발생시 우리 시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지역별·소득별 의료 이용격차 해소 등 시민과 함께하는 시민의 주치의가 될 것이다"며 "공공보건의료 체계의 핵심 축으로 AI헬스케어 분야 기업 유치를 위한 테스트베드(Test-Bed) 제공 등의 기여도 예상되는 만큼 향후 정부의 예타 면제에 총력을 다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