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경단녀 직업교육훈련 확대...채용기업 세액공제 늘린다

여가부, 코로나19 충격 30·50대 여성 취업자 수 줄어
IT·디자인·빅데이터 등 직업훈련...여성 창업 미래분야 진출 지원도 확대

경단녀 직업교육훈련 확대...채용기업 세액공제 늘린다
여성가족부 로고. © News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코로나19 충격이 여성 비율이 높은 대면서비스업에 집중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교육과 여성 고용기업 세제지원이 강화된다. 특히 30·50대 여성 취업자 수가 줄어 경력단절여성에 IT·디자인·콘텐츠·빅데이터 등 유망 직업교육훈련 지원규모를 확대한다. 또 1인가구 주거지원을 위해 학교·직장 인근에 시세 50~95%이하 청년주택을 2021~2025년 총 24만3000가구를 공급한다.

■경단녀 범부처 통합 취업지원서비스 확대
여성가족부는 28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범부처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팀장 기재부 1차관) 관련 11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여성 경력유지 및 단절 완화'와 성평등 노동시장 조성 과제를 발표했다.

한국은 합계출산율 0.84(2020년 기준)의 심각한 저출산으로 노동공급 감소가 예상되는데 여성 고용률은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도 훨씬 못미치고, 남성과 격차가 큰 상황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충격이 큰 여성 직업 역량강화와 취업 지원을 확대한다. 경력단절여성에 IT·디자인·콘텐츠·빅데이터 등 유망 직업교육훈련 지원규모를 164곳 2600명에서 175곳 2800명으로 늘린다.

경력단절 여성 대상 문화예술 후원 매개 분야 실무형 교육과정에서 전문가를 양성한다. 문화예술 후원 매개 전문가는 문화예술후원자(개인, 기관, 기업 등)와 후원대상(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인)을 연결해주는 매개자 역할을 한다.

경력단절 여성 고용기업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취업도 돕는다. 각 부처 여성 전문인력 양성사업과 새일센터 취업지원을 연계해 원스톱으로 경력단절여성 범부처 통합 취업지원서비스를 확대한다. 이는 과기부, 산자부, 문체부 등 2021년 8개 부처 참여에서 2022년 복지부, 산림청 등이 추가된다.

현행 경력단절여성 인정기간을 기존 퇴직 3년 이상에서 2년 이상으로 완화해 고용기업 세액공제도 확대한다. 중소·중견기업이 경력단절여성과 근로계약 체결 시 인건비의 15~30%를 공제해준다.

여성 창업과 미래분야 진출 지원도 확대한다. 여성창업경진대회에서 여성창업자를 발굴하고, 여성기업 보증을 위해 2020~2024년 2조5000억원의 성장자금을 공급한다. 여성기업 제품 공공구매를 확대하고, 홈쇼핑·라이브커머스 등 디지털 판로지원, 수출활성화로 경쟁력을 제고한다. 여성기업 제품 공공기관 구매목표를 2020년 9조8000억원에서 2024년 13조원으로 확대한다.

여성의 미래 유망분야 진출 확대를 위해 학생과 미취업·재직·은퇴 여성과학기술인 대상 전 생애주기 통합 성장지원 온라인 플랫폼(W브릿지)을 운영한다.

STEM(이공계) 분야 여성진출을 위해 이공계 진출지원 통합 프로그램(진로탐색-경력설계-취창업), 신기술 분야 여대 공동 직업훈련 프로그램(D-Hub) 등 추진을 검토한다.

여성가족부 정구창 기획조정실장은 "여성 취업은 진입 초기 다양한 산업에 진입해도 재취업 시에는 서비스업 분야로 집중된다"며 "여학생 이공계 진입이 적지만, 한번 경력단절이 되면 이 분야로 복귀가 어려운 것이 가장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육아부담 완화…1인가구 주택지원
육아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초등돌봄 확대와 운영시간 연장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초등돌봄교실 운영 개선방안'을 8월 마련해 질을 향상시킨다. 아이돌보미를 추가 양성해 기존 8800명에서 올해 1만300명으로 확대한다.

1인가구 등 주거지원을 위해 학교·직장 인근에 시세 50~95%이하 청년주택을 2021~2025년 총 24만3000가구를 공급한다.
이 중 30%(7만6900가구)는 청년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 업무·문화시설 복합,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주택으로 공급한다. 특화주택은 일자리 연계형(4만8900가구), 기숙사형(8000가구), 역세권 리모델링형(2만가구)이다.

고령층에도 2021~2025년 공공임대 5만2000가구를 차질 없이 공급하고, 고령자복지주택에 돌봄·재가요양서비스 등 연계를 강화한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