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환경이 미래다> “지상 노출 지역 내 노후 하수처리장 지하화시설 도입 시급”

하수처리시설의 내구연한(30년) 지나 법정 수질기준 초과
하수도시설 편의기능 갖춘 주민친화시설 인식 개선 필요
수처리시설 지하 설치 악취발생 원천 차단, 상부에 공원

<환경이 미래다> “지상 노출 지역 내 노후 하수처리장 지하화시설 도입 시급”


⑪ 하수 처리
<환경이 미래다> “지상 노출 지역 내 노후 하수처리장 지하화시설 도입 시급”
가좌하수처리시설 전경.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국내 하수도 정책은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하수도의 양적성장을 추진해 왔다. 인천시는 총 13개의 하수처리시설(부천시 관리 굴포하수처리시설 제외)을 갖추고 있으며 하루 115만7000t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가좌·승기 등 1990년대 설치된 초기 하수처리시설의 내구연한(30년)이 도래해 시설 노후화에 따른 처리성능 저하와 방류수역의 수질개선 기준 강화 등으로 처리수의 법정 수질기준을 상습적으로 초과하기 시작했다.

또 지역 주민들의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당초 수처리 기능에만 국한됐던 하수처리시설의 위상 및 역할 변화가 요구된다.

■ 하수처리시설 내구연한 넘겨 노후화
최근 들어 서울시를 비롯한 주요 대도시에서 수만㎞에 달하는 하수관로와 실제 발생 하수량을 초과하는 하수처리시설 용량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방류수역의 수질개선이 더 이상 나아지지 않고 지역 주민들의 하수도서비스 향상에 대한 불만민원은 더욱 증가 하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하수도시설 확충 정책만으로는 공공수역의 수질을 보전하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이제는 설치된 하수도의 개량과 유지관리 방안에 대해 고민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예를 들어 하수관로는 하수의 이송을 위한 시설이지 쓰레기를 버리는 곳이 아니고 이는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하수처리시설이 혐오시설이 아닌 수질정화시설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캠페인을 통해 민·관이 참여하는 하수도시설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더불어 시민들의 하수도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낡고, 더럽고, 냄새나는 하수도시설이 주민편의 기능을 가지는 친화시설이 될 수 있도록 하수처리시설의 개선방안도 동시에 고민해야 한다.

서울, 부산, 경기 등에서는 지난 2008년부터 중랑, 서남하수처리시설과 수영하수처리시설의 단계별 지하화사업과 박달하수처리시설 및 하남하수처리시설 등 대형 하수처리시설을 지하화 형식으로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지하화하수처리시설은 수처리시설을 지하에 두어 악취발생 요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상부에 공원, 체육시설, 교육 및 홍보시설 등의 주민친화시설을 설치해 운영하게 된다.

■ 승기하수처리장 지하화사업 추진
승기하수처리시설은 송도국제도시 개발과 같은 도시의 확장으로 시설이 도심지 한복판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지상에 노출된 노후하수처리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또 수질기준의 고도화와 내구연한이 도래되고 있는 노후된 하수처리시설의 기능 약화에 따른 방류수질 상시 준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승기하수처리시설 지하화사업을 추진해 지난해 환경부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사업 추진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다.

시는 본격적인 사업시행에 나서면서 공공하수처리시설 본연의 기능 확대, 지하화시설 도입으로 민원해소 및 주민 편의기능 확대, 음폐수 등의 연계처리수 유입이 가능한 환경기초시설 기능 확대 등의미래 하수도 기본구상안을 제시했다.

시 관계자는 “기본구상을 적절히 반영해 하수처리시설의 처리 기능 제고와 하수처리 기능에 새로운 가치를 더할 수 있는 기능 추가 등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