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노사 화합 ‘삼성전자 모델’을 기대한다

현대차 모델은 강경일변도
노사관계에도 신기원 열길

[fn사설] 노사 화합 ‘삼성전자 모델’을 기대한다
삼성전자 노사가 5일 창사 이래 첫 임금교섭에 들어간다. 사진은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사진=뉴스1
삼성전자 노사가 1969년 창사 이래 첫 임금교섭에 나섰다. 노사는 5일 경기 용인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첫 상견례를 했다. 삼성전자 사내에는 4개 노조가 있다. 이 중 규모가 가장 큰 전국삼성전자노조 주도로 공동교섭단을 구성했다. 노조 협상안에는 전 직원 계약 연봉 일괄 1000만원 인상, 영업이익 25% 성과급 지급, 자사주 인당 107만원 지급, 코로나19 격려금 지급, 하위고과 임금 삭감 폐지 등이 포함돼 있다.

삼성에는 오랫 동안 노조가 없었다. 임금인상률은 사내 자율기구인 노사협의회를 통해 결정했다. 그러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5월 신노사문화를 약속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이 부회장은 대국민 기자회견을 통해 "더 이상 삼성에서는 '무노조 경영'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후 삼성은 발전적 노사관계 구축방안을 고심해 왔다. 지난 5월 그룹 관계사 인사팀장들은 양대 노총의 전임 위원장들을 초청, 노사의 새로운 상생방안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6월엔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문성현 위원장도 초빙됐다.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 주요 계열사는 외부 전문가들이 주축이 된 '노사관계 자문그룹'도 구성했다. 삼성의 변화 노력은 이번 교섭을 통해 가늠할 수 있다.

노사 상생을 위해선 기업 못지않게 노조의 변화도 필수다. 대기업 노조는 지나친 조직 이기주의로 귀족노조라는 비판을 받는다. 기업이 처한 현실은 못 본 척하고 오로지 근로자 이익에만 매달리는 관행 때문이다. 툭하면 파업도 했다. 최근 '캐스퍼' 자동차를 생산하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 호평이 쏟아진 것은 새 노사관계 모델도 한몫했다. 자동차 업계의 고질병인 고비용·저생산 구조를 탈피할 조짐을 보여줘서다. 노사가 손을 잡고 직장의 미래를 최우선으로 둬야 한다. 그래야 일자리가 지속되고 새로운 고용도 창출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한국 국가대표 기업이다. 그만큼 어깨가 무거울 수밖에 없다. 수시로 분기별 최고 실적을 올리는 삼성전자에 노조가 추가 성과급을 요구하는 것은 일견 타당하다. 하지만 종업원용 이익 배분이 기업의 투자여력까지 훼손해선 안 된다. 오랜 기간 국내 노사관계는 현대차가 바로미터 역할을 했다.
현대차 모델은 강경 일변도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제 삼성전자 노사가 첫발을 뗐다. 삼성이 노사 화합에서도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