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팀’ 파열음 커지는 민주당
이캠프 소속의원 전원 "결선 촉구"
송 "대통령도 축하" 이의제기 일축
정세균·김두관, 대승적 승복 촉구
이낙연 캠프 종합상황본부장인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의원(맨 앞)이 11일 당 대선후보 결정 건에 대한 이의신청서를 접수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대전현충원 참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맨 앞줄 가운데)가 11일 오전 송영길 민주당 대표(이 지사 뒷줄 오른쪽) 등과 함께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 참배를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민주당 대선후보 중 첫 공식 일정으로 서울 국립현중원이 아닌 대전현충원을 찾은 건 이 후보가 처음이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측이 11일 사실상 경선 불복을 의미하는 무효표 관련 이의신청서를 당 선관위에 공식 제출하면서 경선 후유증이 현실화되고 있다. 하지만 송영길 대표는 민주당 대선후보 이재명 경기지사 선출을 거듭 확인하는 등 경선 불복 논란 불씨 차단에 주력했다.
민주당으로선 국민의힘 등 야당에 한달여 앞서 일찌감치 대선후보를 확정했지만 남은 기간 당내 경선 불복 논란에다 대장동 개발특혜 의혹까지 안팎으로 이중고를 헤쳐나가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이낙연측 "결선투표 실시하라"
이낙연 캠프 종합상황본부장인 최인호 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 총무국에 이의신청 서류를 제출했다. 제출 서류는 '(정세균·김두관) 무효표 처리'를 취소하고 결선투표를 실시하라는 내용이다. 앞서 공동선대위원장인 홍영표 의원도 기자회견을 열고 캠프 소속 의원 전원 명의로 결선투표 실시를 촉구했다. 홍 의원은 "10일 민주당 선관위와 지도부의 경선 결과 발표는 명백히 당헌·당규에 위배된다"며 "당헌·당규를 오독해서 잘못 적용하면 선거의 정통성이 근본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측은 경선을 중도포기한 정세균 전 총리가 얻은 표(2만3731표), 김두관 후보 표(4411표)를 무효 처리 않고 유효표로 합산시 이 지사의 누적 득표율은 49.32%에 그쳐 50% 과반에 못미친다는 논리다. 경선을 포기하기 전까지 얻은 표는 유효표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당 선관위가 관련 규정을 이 지사에게 유리하게 해석했다는 주장이다.
김종민 의원도 "(지도부가) 의도했다면 부정선거이고 의도하지 않았다면 실수이자 착오"라며 "빨리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 전 대표측이 당 선관위가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가처분신청 등 법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송영길 "이재명 후보 추천서 전달"
하지만 송영길 대표는 공식적으로 "민주당 대선후보는 이재명 후보"라고 거듭 확인했다.
송 대표는 이날 이 지사와 국립 대전현충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 당은 어제 이재명 후보를 20대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 발표했고, 제가 추천서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또 "대통령도 어제 대변인을 통해 축하메시지를 보내줬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선 불복 논란 향배의 칼자루를 쥔 송 대표가 이 전 대표측 이의제기에 대해 사실상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며 쐐기를 박은 셈이다.
다만 이 전 대표측 이의제기 신청에 대해선 "선관위나 당 기구의 공식 절차를 통해 처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경선 결과에 영향을 주는 방식이 아닌, 서류상 특정 캠프가 내놓은 이의제기에 답변을 내놓는 형태에 그칠 공산이 커 보인다.
이 지사도 후보 확정 뒤 첫 공식 일정으로 국립대전현충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상식과 원칙, 그리고 당헌당규에 따라 당에서 잘 처리할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캠프 총괄본부장인 박주민 의원도 라디오에서 "(이 전 대표가) 승복을 해주시는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효표 논란의 당사자로 중도 사퇴한 정 전 총리와 김 의원은 이 전 대표의 대승적 결단을 촉구했다.
정 전 총리는 SNS에 "원칙을 지키는 일이 승리의 시작"이라고 했고, 김 의원도 "원칙을 훼손하는 어떤 세력도 역사에 큰 죄를 짓게 될 것"이라고 거들었다.
일각에선 경선불복 논란이 극적으로 봉합이 되더라도 앙금이 여전해 본선을 앞두고 진정한 원팀을 이루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관측이다.
cerju@fnnews.com 심형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