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실종자 찾기 큰 역할 '경보문자' 사칭 막고 정보 전달력 높인다 [잃어버린 가족찾기]

발견 사례 중 36%가 문자 덕분
경찰, 내년 자체시스템 구축 추진
URL주소 대신 사진 등 전송 검토
개인정보 유출 우려는 보완해야

실종자 찾기 큰 역할 '경보문자' 사칭 막고 정보 전달력 높인다 [잃어버린 가족찾기]
실종경보문자 휴대폰 화면 캡처
실종자 정보를 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실종경보 문자' 제도가 효과를 발휘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보완 과정을 통해 문자 송출시스템과 보이스피싱 사칭 우려 등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종자 찾고, 골든타임 줄이고

18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 6월 9일부터 18세 미만 아동과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 치매환자 등 실종자 정보를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실종경보 문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실종사건 발생 시 실종자의 나이와 인상착의 등 정보를 재난문자 형식으로 전송해 국민제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치다. 실종사건은 시간이 길어질수록 실종자를 찾을 가능성이 낮아지는데 실종경보 문자가 이를 줄이는 데 톡톡히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실종경보 문자 제도가 시행된 지 100일은 맞은 지난달 28일까지 총 167건의 실종문자가 전송됐다. 이 가운데 실종경보 문자가 직접 발견의 원인이 된 사례는 60건(35.9%)으로 파악됐다. 직접 원인이 된 60건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문자 송출 시부터 발견까지 평균 3시간10분이 소요됐다. 이는 2021년 실종아동 등의 평균 발견 소요시간인 34시간과 비교해 10.7배 단축된 수치다. 치매 환자 평규 발견 소요시간인 6시54분보다도 2.1배 빨랐다.

■자체 시스템 확보 나선 경찰

경찰은 예산을 확보해 내년부터 경찰청 자체 문자 송출시스템을 구축하고 통신 3사와 협의해 기술적 개선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경찰은 현재 행전안전부의 재난안전문자 시스템을 통해 90자 내외로 실종경보 문자를 전송하고 있다. 하지만 실종경보 문자는 실종자의 인상착의 등 많은 정보가 포함돼야 하기 때문에 이 시스템만으론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운 상태다. 특히 행안부의 재난안전문자 시스템으로는 사진을 전송할 수 없다. 이에 경찰은 현행 실종경보 문자에 URL 주소를 넣고 있는데, 보이스피싱을 우려해 URL을 눌러 확인하기 꺼리는 이들도 적지 않다. 경찰 관계자는 "실종경보 문자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등장할 수 있기 때문에 함부로 URL을 클릭하라고 권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경찰 자체 문자송출 시스템을 구축하면 URL 없이 실종자의 사진을 문자로 전송할 수 있으나 여기에도 '딜레마'는 존재한다. 실종경보 문자는 실종자의 인상착의는 물론, 실종자의 질환과 장애 여부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정보는 실종자 발견 뒤 지워야 하는데, URL 접속과 달리 문자 전송은 이를 삭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재난안전문자 시스템을 통해 '동의 없이' 실종경보 문자를 보내지 말라는 민원도 잇따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실종경보 문자가 아직은 초기이기 때문에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라며 "실종자를 보다 빠르게 찾고 국민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많은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