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은둔형 외톨이 문제 공론화 주역 오상빈 광주동구 상담센터장[숨어버린 사람들 (1)]

은둔형 외톨이 문제 공론화 주역 오상빈 광주동구 상담센터장[숨어버린 사람들 (1)]
오상빈 광주광역시 동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이 상담실에서 파이낸셜뉴스와 만난 인터뷰 하고 있다. 그는 '가정 방문 상담'을 통해 은둔형 외톨이의 마음의 문을 먼저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이환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 방문 상담'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어요. 기본적으로 문 밖을 나오지 않는 친구들인데, 이들에게 먼저 찾아가 문 밖에 나올 수 있도록 마음의 문을 두드려야 합니다."
오상빈 광주광역시 동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은 "은둔형 외톨이의 자립이라는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가정 방문 상담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둔형 외톨이들은 가장 가까운 부모와도 대화가 단절된 채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가정 폭력, 부모의 무관심 등 여러 요인으로 타인에게 마음의 문을 닫은 이들에게 전문 상담가가 여러 차례 다가서야 한다는 것이다.

오 센터장은 상담 전문 대학원을 졸업하고 2007년부터 찾아가는 청소년 상담을 진행했다. 청소년 상담을 진행하던 중 은둔형 청소년·청년들에 관심이 생겨 현재까지 100회 이상 은둔형 외톨이 가정방문 상담을 진행했다.

그는 지난 2018년 광주시 의원이던 신수정 의원을 찾아가 은둔형 외톨이 논문과 자료 등을 전달하며 '조례' 제정을 촉구했다. 이후 광주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2019년 10월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통과 시켰고 다음해에는 행정안전부로부터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오 센터장은 △ 은둔형 외톨이 개념 정의→△ 관렵 법 제정→△ 정부 차원의 실태 조사→△ 정부, 지자체, 민간의 맞춤형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은둔형 외톨이 대책 마련에 정부부처간 칸막이를 없애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은둔형 외톨이 연관 사업의 경우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등에 흩어져 있는데 이를 통일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자체 차원에서 예산을 쓸 경우 각 지자체 마다 자금 여력이 달라 중앙 정부에서 예산을 내려보내는 일관된 시스템도 필요하다.

오 센터장은 "은둔형 외톨이들은 장애와 비장애, 상담과 복지,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있는데 단일한 기준을 적용하면 사각지대가 생길 수 있다"며 "예를 들어 은둔형 외톨이를 '청년'으로 규정할 경우 40~50대 중장년 은둔형 외톨이는 빠지게 되고, 단순히 '정신병'으로 취급하며 많은 사람이 빠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지자체, 국회에서의 법률 제도적 정비와 함께 당사자와 부모, 민간 지원·활동 단체의 역할 분담도 중요하다.

그는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모임, 부모 모임, K2와 같은 민간 센터 등 삼각 구도로 잘 운영이 돼야 한다"며 "언론 역시 은둔형 외톨이의 사례를 과장하거나 범죄자 등으로 일반화 하는 관행은 조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