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팬데믹 위기 속 빛난 '돌봄 SOS' 복지사각 촘촘히 메웠다

서울시 '돌봄SOS센터' 사업
동행지원·일시재가·단기시설 등
생활밀착형 8가지 서비스 지원

팬데믹 위기 속 빛난 '돌봄 SOS' 복지사각 촘촘히 메웠다

#. 서울 도봉구 쌍문1동 주민센터에 전화가 한통 걸려왔다. 주인공은 쌍문동에 거주하는 김모씨(46·여)였다. 혼자 살고 있던 김씨는 유방암 4기 대상자로 항암 치료 중이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3개월 동안 항암치료를 받지 못한 상태였다. 장기간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항암 부작용이 생겨 거동은 불편해졌고 호흡도 힘들어지자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주민센터에 도움을 요청한 것이다. 주민센터에서는 일단 코로나19 검사부터 진행한 이후 응급실 입원을 도왔다. 병원에 입원한 김씨는 의식불명 상황까지 갔으나 다행히 상태가 호전되면서 퇴원도 할 수 있었다. 이후에도 주민센터에서는 김씨가 다시 위험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집으로 직접 찾아가는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 2019년 시작한 '돌봄SOS센터' 사업이 돌봄 사각지대를 촘촘하게 메우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돌봄SOS센터는 거동이 어렵거나 수발할 수 있는 가족이 없는 어르신, 장애인들이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로 긴급 가사 간병이 필요한 경우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다. 지난 2019년 성동구·노원구·은평구·마포구·강서구 등 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이 시작됐으면 지난해 8월부터는 서울 전 자치구로 확대됐다.

■생활밀착형 돌봄 서비스 지원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돌봄SOS센터에서는 총 8가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병원 이동 등 필수적인 외출을 지원하는 '동행지원' △요양보호사가 집으로 직접 찾아가 돌봄 서비스 제공하는 '일시재가' △가정 내 돌봄이 어려운 경우 시설 입소를 지원하는 '단기시설' △가정 내 간단한 수리 및 보수 지원하는 '주거편의' △기본적 식생활 유지가 불가능한 경우 도시락을 배달하는 '식사지원' △투약 및 영양관리, 만성질환 관리 등을 '건강지원' △일상 안부 전화 및 자택 방문 말벗 등 '안부확인' △돌봄 관련 문제 상담 및 서비스 기관 정보 제공 '정보상담' 등이다.

이 같은 돌봄 서비스는 만 50세 이상 성인 또는 장애인(모든 연령)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는 올해 중장년 1인 가구 급증 현상 등을 고려해 만 50세 이상 중위소득 100% 이하 시민도 부담 없이 시의 비용 지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상황이다. 더구나 김씨의 사례처럼 만 50세 이상이라는 연령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자치구의 승인을 받아 예외지원 대상자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생활밀착형 돌봄 서비스는 코로나19 국면에서는 예기치 못한 돌봄 공백을 촘촘하게 메우는 해결사 역할까지 하고 있다. 복지관 등 돌봄시설 운영이 장기간 중단되고 복지제도 신청·심사가 지연되면서 발생한 돌봄 공백을 방문요양이나 도시락 배달 등을 통해 해결했다.

■갈수록 늘어나는 돌봄 서비스 이용

돌봄SOS센터의 서비스의 중요한 특징은 소득 기준이 아닌 이용자 돌봄 욕구의 시급성과 심각성을 고려해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는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등 변화하는 시대 상황으로 나타날 수 있는 돌봄 사각지대를 메우는 역할을 했다.

따라서 올해 돌봄SOS센터 서비스 이용은 크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올해 1~7월 누적 서울시민이 이용한 돌봄서비스는 6만8968건에 이른다. 이미 지난해 한 해 동안 제공했던 4만3086건을 넘어선 것이다. 같은 기간 서비스 이용액도 총 102억2000만원으로 작년 한 해 전체 서비스 이용액이 70억원을 넘어섰다.
서비스 이용률을 보면 '식사지원서비스' 45.5%, 일시재가서비스 22.7%, 주거편의서비스 14.4%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의 이용이 많았다. 이용자의 경우 고연령(65세 이상 어르신. 76.8%)·1인가구(68.4%)의 비율이 높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장기화된 코로나19 국면에서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돌봄SOS센터'가 긴급하고 일시적인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을 위한 돌봄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