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까지 G2 샌드위치
동급 인사 보내 설득하길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신장지역에서 지금도 진행 중인 학살 등의 인권범죄를 고려한 것"이라고 이유를 들었다. 동계올림픽은 내년 2월 4~20일 베이징에서 열린다.사진=뉴스1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신장지역에서 지금도 진행 중인 학살 등의 인권범죄를 고려한 것"이라고 이유를 들었다. 동계올림픽은 내년 2월 4~20일 베이징에서 열린다.
중국은 아주 고약한 상황에 직면했다. 하필이면 오미크론 변이 출현으로 코로나 사태는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자칫 올여름에 가까스로 열린 도쿄 하계올림픽처럼 분위기가 푹 가라앉을 공산이 크다. 이 마당에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은 잔칫집에 재를 뿌리는 격이다.
미국의 결정은 못내 아쉽다. 인류의 축제인 올림픽에 정치 색채를 입히는 건 어떤 경우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지난 1980년에도 미국은 모스크바 하계올림픽 불참을 주도했다. 외교적 보이콧이 아니라 아예 선수단 자체를 보내지 않았다. 소련(현 러시아)이 1979년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것을 이유로 댔다. 이때 한국, 일본, 중국을 비롯해 66개국이 보이콧에 동참했다. 소련은 곧장 보복에 나섰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올림픽에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이 대거 불참했다. 어떤 형태이든 보이콧은 '스포츠를 통한 국제평화 증진'이라는 올림픽 정신에 흠집을 낸다.
당장 한국을 비롯해 미국의 우방국들이 선택의 기로에 섰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다른 나라들도 각자의 결정을 수일 또는 수주 내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실상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외교 사절을 보내지 말라는 압박이다.
미국 편에 서자니 중국이 신경 쓰이고, 중국 편에 서자니 미국 눈치가 보인다. 전형적인 샌드위치 형국이다. 이럴 땐 친미, 친중이 아니라 국익을 판단 잣대로 삼는 게 최상이다. 우회 전략도 고려할 만하다. 모스크바 올림픽 때 영국·프랑스 등은 참가 결정권을 슬쩍 자국 올림픽위원회(NOC)에 넘기는 묘책을 썼다. 결국 두 나라는 소규모 선수단을 모스크바에 파견했다.
'평창 답방'은 또 다른 해법이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 중국은 한정 부총리(정치국 상무위원)를 대표로 보냈다. 이번에 우리쪽 같은 급의 인사를 베이징에 보내면 미·중 두 나라를 설득할 명분이 생긴다. 무엇보다 미국이 주도하는 외교적 보이콧은 유럽과 일본, 호주 등의 반응을 먼저 지켜본 뒤 결정을 내려도 늦지 않을 것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