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병상 대기자 1500명 육박… 대전·충북엔 남은 침대가 없다 [위중증 900명 돌파]

오미크론 누적확진자 120명.. 사망자 96명 늘어'악화일로'
부스터샷·방역패스 확대 등 정부 '특별방역대책' 안먹혀
이번주 시설운영·모임 제한 등 '거리두기' 강화 여부에 촉각

병상 대기자 1500명 육박… 대전·충북엔 남은 침대가 없다 [위중증 900명 돌파]
1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광장을 둘러 길게 줄 서 있다. 뉴시스
코로나19 방역 전 영역 지표가 연일 악화되면서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고심하고 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사망자가 가파르게 늘고 코로나19 신종변이인 오미크론도 누적확진자가 120명에 육박하는 등 현행 방역대책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물론 정부 내에서도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코로나19 유행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조만간 고강도 방역대책이 시행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방역지표 악화일로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코로나19 상황은 악화일로다. 지난달 1일 본격 시행된 일상회복 1단계 이전에는 신규 확진자가 1000~2000명 수준이었지만 14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5567명을 기록했다. 그나마 주말효과로 확진자 수가 줄어든 규모다. 그럼에도 이날 기준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6621.3명에 달한다.

위중증 환자도 이날 900명을 돌파했고 사망자도 이날 96명이나 늘어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방역상황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병상 부족 문제다.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면서 이들이 들어갈 중환자 병상이 고갈되고 있다.

지난 13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은 총 1288개 중 1053개가 사용되고 있어 235개가 남았다. 병상 가동률은 81.8%이다. 수도권의 병상 가동률은 서울 89.8%, 인천 89.4%, 경기는 82.2%이다. 원활한 의료대응이 가능한 수준이 75%라는 것을 고려하면 수도권 전 지역이 위기상황이다.

수도권과 가까운 비수도권 지역 중 세종은 중환자 병상이 1개 남았고, 대전과 충북에는 남은 병상이 없다. 충남은 8개가 남아 있다.

이날 병상 대기자는 모두 1481명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내 병원 입원 대기자는 807명, 생활치료센터 입소 대기자는 673명이며 비수도권에서는 1명이 입원을 대기하고 있다.

■정부 '특단의 조치' 카드 만지작

방역상황이 계속 악화된다면 정부는 특단의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미 지난 10일 김부겸 국무총리(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현재 방역위기 상황의 엄중함을 설명하면서 특단의 조치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했고, 이후에도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중대본 1차장)이 방역상황의 반전이 없다면 특단의 방역대책이 불가피하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방역조치인 '특별방역대책'은 코로나19 백신접종과 방역패스 확대가 핵심이다. 이 때문에 심각한 현 방역상황에 맞지 않는 저강도 조치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 이 조치의 효과가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고심하는 특단의 조치에는 시설 운영제한, 사적모임 제한 등을 포함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안이 대거 포함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주 내 특단의 조치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날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치는 이미 다 준비돼 있고 수요일, 목요일 이번주 상황을 한번 지켜보자"고 말해 이르면 17일 발표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이다.

지난 13일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도 "이번주 상황을 보면서 유행이 악화하고, 의료체계의 여력이 감소해 위험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특단의 조치까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다만 정부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단정적으로 금요일(17일)에 특단의 조치가 이뤄진다는 답변보다는 보통 수요일, 목요일에 (방역상황이) 실질적으로 위중한 상황으로 나오는 만큼 그런 부분을 평가하고 위중한 상황, 사회·경제적 상황, 의료여력 등을 고려해 어떻게 확산을 막을지 총체적 고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반장은 정부가 위기상황 속에서 특단의 조치를 차일피일 미룬다는 지적에는 "그 표현은 맞지 않는 것 같다"면서 "정부도 엄중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