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일일 확진자 1만명 현실화되나...한달 반새 위중증환자 3배 가까이 증가

일일 확진자 1만명 현실화되나...한달 반새 위중증환자 3배 가까이 증가
[부산=뉴시스] 지난 1월 동래구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 (사진=동래구청 제공)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와 전문가들이 우려했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1만명 돌파가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5일 신규확진자수가 7000명대 후반으로 증가하면서 일주일만에 역대 최다규모를 경신했다.

여기에 위중증환자도 가파르게 늘어나 1000명에 육박한다. 지난 6일부터 사적모임 규모 축소와 방역패스 적용 확대 등 특별방역대책을 시행 중이지만 방역상황은 연일 악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사적모임 인원 추가 축소, 영업시간 제한을 골자로 하는 고강도 방역대책을 예고했다.

■하루 신규확진자 8000명 육박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 신규 확진자수는 7850명으로 사상최다이다. 기존 최다치인 지난 8일 7174명보다 676명이나 많은 규모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달 24일 처음으로 4000명대에 진입한 이후 지난 1일 5122명, 지난 8일 7174명로 규모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서울의 신규 확진자수는 3166명으로 3000명을 넘어섰고, 경기도 2299명, 인천 476명 등 수도권에서만 5941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의료계에서는 이같은 속도로 확산세가 이어지면 이번주에 하루 확진자가 1만명을 넘어설 수 있다고 우려한다.

위중증환자와 사망자도 급증하고 있다. 위중증은 58명 증가한 964명으로 이 역시 역대 최다이다. 사망자도 하루에 70명 증가했다. 총 사망자는 4456명으로 늘었으며 누적 치명률은 0.83%다.

특히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으로 방역이 완화되면서 증가속도는 더욱 가파르다. 11월1일 343명이었던 위중증환자는 한달 반만에 600명이 넘게 증가해 한달새 3배로 늘어났다. 사망자 또한 같은 기간 동안 1608명이 발생했다. 이는 누적 사망자의 36.7%에 달한다. 위중증환자가 증가하면서 중환자 병상도 빠르게 채워지고 있다. 14일 오후5시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1.4%다. 수도권의 경우 837병상 중 723병상이 채워지면서 병상 가동률은 86.4%에 달한다. 또한 오미크론 변이도 확산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 유입 5명, 국내 감염 4명이 확인돼, 누적 감염자는 총128명이다 .

이날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지난달 요양시설 등의 집단감염 발생 후 3차 접종에 집중해 시설 내 고령층 분들은 대략 80% 정도까지 3차 접종을 마쳤다"면서 "60세 이상의 42.1%까지 3차 접종을 받으신 상태라서 고령층의 발생이 줄어들지 않을까라고 본다. 실제 전체 확진자 중 60세 이상 비중도 35% 정도까지 올라갔던 것이 현재 30% 초반대까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4단계+α' 고강도 방역조치 논의중

정부는 지난 6일부터 사적모임 축소, 방역패스 적용 확대 등의 특별방역대책를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유행 감소세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오는 17일 다시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발표를 예고했다. 손영래 반장은 "현재로서는 (유행) 악화 속도의 둔화 현상은 보이지만 반전되는 경향들이 관찰되지 않는 측면에서 현재의 상황이 좀 엄중하다고 보고 있다"면서 "범용적인 사회 전체의 접촉을 줄여나가는 조치까지도 필요할 것이라고 보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이 대책에 대해 "약 9일차에 접어들고 있어, 효과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말하기 조심스러운 시기"라고 말했다.

정부는 신규 확진자수가 8000명을 육박하고 위중증환자수가 1000명에 근접하자 다시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시행하기로 사실상 결정한 상태다. 정부가 내놓을 새 대책을 두고 일각에선 앞선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조치에 방역패스 적용까지 더한 이른바 '4단계+α' 조치가 나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관련 손 반장은 "구체적인 내용과 기간, 병행해서 어떤 조치를 실시할지에 대해서는 오늘부터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비롯해 관계부처와 지자체들의 의견을 모아 논의하면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