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한은 "코로나 이후 고용재조정...생산성 격차 늘고 반복직종 축소"

한은 "코로나 이후 고용재조정...생산성 격차 늘고 반복직종 축소"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이후 산업간 생산성과 일자리수 격차가 심화되는 고용재조정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생산성 산업에서는 노동생산성이 증가하고 저생산성 산업에서는 생산성이 감소했다. 또 관리직이나 전문가 등 고숙련이나 단순노무직 등 저숙련 일자리 비중이 늘어난 반면 반복적인 중숙련의 일자리 비중은 축소됐다. 27일 한국은행이 BOK이슈노트를 통해 분석한 '코로나19 이후 고용재조정 및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크게 감소했던 취업자수가 올해 들어 위기 이전을 회복하면서 대면접촉도나 재택 가능 여부, 자동화 대체 등에 따라 회복 정도가 차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산업별로는 대면서비스 제약, 비대면서비스 확산, 산업별 업황 등에 따라 취업자수가 상이한 패턴을 나타냈다. 1990년대 이후 경제의 서비스화로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기반한 고용재조정이 점진적으로 진행된 가운데 팬데믹 기간 중에는 서비스업 내에서 일자리 특성에 따른 고용재조정이 주를 이뤘다는 분석이다.

직업별로는 감염병 확산 우려가 크고 재택근무가 어려운 판매 및 서비스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비대면 소비가 확산되면서 택배원, 배달원 등을 중심으로 단순노무가 이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재택근무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관리자, 전문가, 사무직 등은 취업자수 변동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산업별 노동생산성 변화를 살펴보면, 노동생산성은 고생산성 산업에서 상승하고 저생산성 산업에서는 하락하면서 산업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됐다. 고생산성에 해당하는 금융보험, 제조업, 정보통신 등의 업종 노동생산성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대비 올해 1·4분기부터 3·4분기 사이에 증가한 반면 저생산성 산업인 운수창고, 예술스포츠여가, 숙박음식 업종 등의 경우 노동생산성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또 코로나19 이후 일자리 양극화도 심화됐다. 중숙련·반복(routine) 일자리가 감소한 반면 고숙련·인지 및 저숙련·육체 일자리가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기술이 발전할 수록 기술대체가 많아지면서 반복적인 중숙련 일자리가 줄어들고 고숙련이나 저숙련 일자리로 양극화되는데 이 같은 현상이 심화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코로나19 이후 일자리특성별 취업자수 증감률을 보면 중숙련 일자리의 경우 1.7% 감소한 반면, 고숙련과 저숙련은 각각 0.5%, 3.9% 증가했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팬데믹으로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 확산, 플랫폼 노동자 증가, 자동화 확산 등은 앞으로도 기업의 노동수요와 가계의 노동공급 행태에 지속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며 "고용재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동시장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도록 취업교육 등 직업훈련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단기적으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