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추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31일 2022년 신년사를 통해 "새해에도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가 양호한 흐름을 유지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우리 경제 안팎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다"며 이 같이 말했다.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팬데믹 상황이 언제 종식될지 아직 가늠하기 어렵고 글로벌 공급차질과 기후변화 대응 등의 영향으로 높아진 인플레이션이 당초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한국은행이 새해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주요 업무로 먼저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추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 과정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금융불균형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의 영향을 함께 짚어가며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그간 높아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호작용해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은 없는지 잘 살펴보아야 하겠다"고 말했다.
또 "대출제도를 운영함에 있어서는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당분간 유지하되, 지원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해 나가면서 코로나 이후 상황을 대비한 중장기 개선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금융·외환시장이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별히 힘써야 하겠다"며 "미 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높아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해 금리인상을 이미 시작하였거나 예고하고 있어 이같은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가격변수와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증폭될 수 있다"고 말했다.
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고 각종 금융지원의 정상화 과정에서 가계 및 기업 부채의 잠재 부실이 현재화될 가능성도 주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 경제로의 빠른 진전에 대응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과 관련한 기술적·제도적 연구를 한층 더 강화해야 하겠다"고 했다.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급서비스를 제공하는 빅테크 기업 등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지급결제 혁신 과정에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현금 접근성이 제약되지 않도록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 노력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이 총재는 "현재의 통화정책 운영체계에 개선할 점이 있는지 검토해야 하겠다"며 "코로나19 이후 인플레이션 동학에 구조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점검하는 한편, 현행 정책운용의 틀에 금융안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정책환경 변화를 반영해 한국은행의 역할을 재정비하는 노력도 지속할 것을 밝히며 "인구구조 변화, 불평등 확대, 기후변화 등 중앙은행으로서도 외면할 수 없는 사회·경제적 중요 어젠다들을 통화정책 운영에 어떻게 고려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 결과와 직원들의 광범위한 의견을 바탕으로 한은 조직·인사 각 분야별 혁신 방안과 이행 로드맵을 담은 ‘중장기 경영인사 혁신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