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행노선 18개·418대 확대
기간도 3개월 늘려 6월까지
코로나 전파·안전사고 감소에 효과
외국인·디지털 소외층 이동권 우려
서울시가 시행 중인 '현금 없는 버스' 시범사업의 기간 당초 3월에서 6월로 늘어나고 참여 노선도 18개로 확대됐다. 서울역 버스환승센터에서 시내버스가 승객 탑승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스1
연초 서울시가 '현금 없는 버스' 시범사업 기간을 3개월 연장하고 적용 범위도 확대했다. 그동안 서울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졌지만 서울 북부에서도 '현금 없는 버스' 시범사업이 실시된 것이다. 이 같은 확대는 시범사업이 순항 중이라는 서울시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다만 외국인 여행객들이나 디지털 소외계층 등의 이동권에 대한 문제가 있는 만큼 전면 확대에는 신중할 것으로 보인다.
■시범사업 기간 3개월 확대
10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가 일부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해 오던 '현금 없는 버스' 시범사업이 당초 올해 3월까지에서 6월까지로 추가 확대됐다.
이로써 현금 승차 폐지 대상인 서울 시내버스는 총 18개 노선, 418대가 됐다. 지난해 10월 시범사업 시작 당시에는 2개 회사 8개 노선의 버스 171대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동안 '현금 없는 버스' 시범사업이 서울 남부 권역 2개 회사 8개 노선이었다"며 "서울 북부 권역에서도 적용해보자는 생각에 북부 권역 2개 회사가 추가로 시범사업에 나서게 됐다"고 밝혔다.
시범사업 확대 결정은 '현금 없는 버스'가 기대했던 만큼 잘 정착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금 없는 버스 시범사업 노선에서 현금 사용 비중은 0.08% 수준에 그친다. 하루 평균으로 보면 55건 정도다. 이는 전체 시내버스의 현금이용자 비중인 0.8%와 비교해도 크게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서울시가 기대했던 △현금을 통한 코로나19 전파 우려 감소 △운행 중 단말기 조작 및 운행 종료 후 현금함 운반 시 안전사고 위험 감소 △현금이용자 결제수단 전환을 통한 현금수입금 유지·관리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시범사업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는 평가다.
■"전면 확대는 신중하게"
'현금 없는 버스' 시범사업이 안정적으로 진행 중이라고는 하지만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존재하는 외국인이나 디지털 소외계층 등의 이동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이냐는 점이다.
현재 서울시는 현재 △버스 정류소마다 QR코드 부착 △현금대체 결제수단 홍보 △계좌이체나 교통카드 구매 안내 등의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QR코드와 같은 디지털 기술이 어렵다면 지하철이나 편의점 등에서 충분히 교통카드를 구매할 수 있고 충전도 한 번 해보면 쉽게 할 수 있다"며 "(현금 사용시) 환승 할인도 안되는 상황에서 현금을 고집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현금으로 버스를 탈 가능성이 높은 외국인 여행객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외국인 여행객이 늘어나는 과정에서 (여행객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다는 추정이 가능하다"며 "버스 승강장 등에 외국어 안내문을 부착하는 등 적극적으로 홍보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서울시는 '현금 없는 버스' 전면 확대에는 신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금 없는 버스'시범사업 과정에서 개선점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아직 시범사업 중인만큼 ('현금 없는 버스') 전면 확대에는 신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