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취록 공개로 수사압박 커져
정진상 추가수사 여부도 관심
뉴시스
대장동 핵심 멤버인 정영학 회계사와 김만배씨(사진)와의 녹취록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표류 중인 검찰의 대장동 수사 향방에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검찰의 대장동 의혹 사건 수사는 지지부진한 상태로, 이른바 '50억 클럽', '윗선' 수사는 사실상 멈췄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 법조계 시각이다.
20일 김만배씨와 정영학 회계사의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대화 녹취록을 입수한 한국일보 보도를 종합하면, 김씨는 곽상도, 박영수, 최재경, 김수남, 권순일, 홍선근 등 '50억 클럼' 멤버 6명의 이름을 말하며 "50억씩 300억원"을 언급한다. 이 금액을 대장동 A12 블록 분양 수익을 통해 제공할 것이라는 내용도 담겼다.
곽 의원과 관련해서는, 2020년 4월 4일 김씨는 정 회계사에게 "병채(곽병채) 아버지(곽상도)는 돈 달라고 그래. 병채 통해서"라고 말한 내용이나, 박영수 전 특별검사가 대장동 개발사업 초기 화천대유 측에 5억원을 건냈다는 내용도 있다.
아들의 퇴직금 50억원을 두고 곽 전 의원이 대장동 개발업자들을 돕는 대가가 아니냐는 의혹은 수사 초기 단계에서부터 제기된 부분이다. 또 녹취록에 박 전 특검이 사업 초기 5억원을 투자한 정황이 담겼는데 이에 따른 투자 수익 보장 여부도 검찰이 들여다보는 부분이었다.
검찰은 이 돈이 화천대유에서 어떤 명목으로 쓰였는지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5년 4월 화천대유 측에 5억원을 계좌 이체 했는데, 당시는 화천대유가 대장동 사업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뒤였다. 이에대해 박 전 특검 측은 입장문을 통해 "5억원은 김만배가 이기성으로부터 화천대유 초기 운영자금으로 차용한 돈"이라고 설명했다.
녹취록 공개로 '50억 클럽'에 대해 검찰 수사팀도 전방위 압박이 예상된다.
한 변호사는 "지금까지는 6인 명단만 있었지만 녹취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된 만큼 향후 언론과 여론 등을 통해 수사 압박이 커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비약적인 수사 진전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의 측근이자 대장동 사업 추진 당시 성남시 정책실장, 경기도 정책실장 등을 지낸 정진상 민주당 선대위 부실장에 대한 추가 수사 여부도 관심을 모은다. 검찰은 지난 13일 정 부실장을 비공개 소환 조사했다.
로스쿨 한 교수는 "정영학 녹취록이 공개됐지만 검찰 수사가 탄력을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만약 검찰 수사팀이 의지가 있다면 유동규 핸드폰을 압수수색한 것처럼 정진상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써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