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다비드상'부터 '게르니카'까지 명화를 보면 호르몬이 보인다.
다양한 방송과 강연을 통해 호르몬 건강 상식을 알려온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당뇨병센터 소장 안철우 교수가 예술·건강서 '뭉크 씨, 도파민 과잉입니다(김영사)를 출간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호르몬 도슨트'가 되어 미술관 옆에 진료실을 열고 미술작품을 통해 생로병사와 희로애락을 관장하는 호르몬을 진단하고 처방한다.
초상화를 보고 호르몬 문제를 발견하고, 풍경화가 불러일으키는 느낌을 호르몬의 특징과 관련지어 이야기한다. 그리고 건강과 균형을 되찾아주는 식습관, 생활 습관 등 호르몬 처방전을 덧붙인다.
사랑과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엔도르핀,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 온몸의 세포를 활성화하는 마이오카인까지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지배하는 14가지 중요 호르몬을 소개하며 명화에 생기를 불어넣고 의학 지식은 알기 쉽게 전달해준다.
호르몬과 미술이 절묘하게 포개어지는 이 조합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 화가든 오브제든 감상자든 모두 호르몬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유려하게 풀어낸 명화 속 호르몬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명화작품뿐만 아니라 인생을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다. 몸과 마음이 충만해지는 호르몬 미술관의 명화 큐레이션전에 여러분을 초대한다.
14가지 호르몬을 50점이 넘는 미술작품으로 풀어낸 이 책은 모두 4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관 기쁨(喜)부터 제2관 분노(怒), 제3관 슬픔(哀), 제4관 즐거움(樂)까지 각각의 감정을 고양하고 때로는 달래주는 희로애락 미술관이다.
■모나리자, 민짜 눈썹에 '웃픈' 사연은
'모나리자'의 특징은 부인의 눈썹이 없다는 점이다. 그 이유에 대해 16세기 유럽의 패션 유행이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저자는 그녀가 갑상선호르몬 분비가 적은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앓았을지도 모른다고 진단한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중년 여성에게 흔히 발병한다.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눈썹은 심하게 빠지며 눈두덩이 붓고 우울감이 생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놀랍게도 '모나리자'에서 찾아볼 수 있는 증상들이다. 모나리자처럼 갑상선호르몬 부족 문제를 겪는다면 요오드가 많이 함유된 해조류를 섭취하거나 티로신이 많은 견과류를 먹어주면 좋다.
■고흐 '해바라기' 노란색, 도파민 과잉?
고흐의 '해바라기'는 노란색 일색인데도 단조로워 보이지 않는다. 노란색이 미묘하게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흐는 평생 노란색에 집착했다. 이를 위해 독주 압생트를 마셨다는 설이 있을 정도다. 고흐의 집착은 아름다운 그림으로 승화되었지만, 호르몬의 관점에선 도파민 과잉이 의심된다.
도파민은 극적인 사랑에 빠지거나 격한 감동을 느끼게 해주는 호르몬이다. 그러나 과다 분비되면 집착, 충동, 중독, 심지어 갑질로 이어진다. 그렇다고 도파민을 아예 차단할 경우 또 다른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도파민 관리는 규칙적인 운동과 수면을 통해 자기 통제감을 키워나가는 게 핵심이다.
■'잠을 지새우는 사람들' 수면장애
에드워드 호퍼의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은 수면 장애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모습으로 보여준다. 멜라토닌 부족은 잠 못 들게 만들 뿐만 아니라 성장이나 대사, 혈당, 피부 건강 등에도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그림 속 인물들의 기운 없는 모습과 어두운 낯빛은 전형적인 멜라토닌 부족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면역력과도 관련이 있어 멜라토닌이 부족하다면 전염병에 노출되기 쉽다.
숙면을 하지 못해 아침이면 몸이 천근만근이라면, 코로나 시대에 면역력이 걱정이라면, 멜라토닌에 관심을 기울여봐야 한다.
■크라나흐 '젊음의 샘'에 숨겨진 비밀?
루카스 크라나흐의 '젊음의 샘'은 몸을 담그면 젊어지는 마법의 샘물을 그려낸 작품이다. 성장호르몬만 잘 관리한다면 꿈같은 일이 현실이 될지도 모른다.
성장호르몬은 지방 분해, 근 성장, 심혈관계 강화, 골밀도 강화 등 무수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성장호르몬은 40살만 되어도 20살에 비해 절반밖에 분비되지 않는다. 나이가 들어도 젊음을 유지하고 싶다면 성장호르몬 관리가 필수적이다.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하기, 콜레스테롤과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 줄이기, 20분 이상 햇빛 쬐기 등 소소한 습관들을 실천해 보도록 한다.
■마그리트의 '마술사', 식탐 호르몬
르네 마그리트의 '마술사'는 끼니를 먹자마자 디저트와 음료를 찾는 현대인의 무한한 식탐을 재치 있게 그려낸 작품이다. 만약 '마술사'에서 자신의 모습이 연상된다면 식욕 호르몬 그렐린과 식욕 억제 호르몬 렙틴의 균형이 무너졌다는 신호다. 애써 굶어가며 스트레스를 받지 말고 그렐린과 렙틴의 균형을 되찾아보길 바란다. 자연스레 식탐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각 장의 부록에서 호르몬 균형을 되찾아주는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소개한다. 실제 진료 사례와 연구 결과에 근거해 세심하게 정리한 호르몬 처방전이다.
안철우 교수는 "명화를 살펴보며 몸 상태를 스스로 진단한 뒤 자신에게 꼭 필요한 관리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며 "일상에 기쁨을 더하고 싶다면 엔도르핀 처방전에서, 스트레스 없는 나날을 꿈꾼다면 코르티솔 처방전에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