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100대 핵심 품목 대일 의존도는 2019년 30.9%→2021년 24.9%로 약 6%포인트 하락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8일 경기 안산시 율촌화학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협력모델 성과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사진=뉴시스화상
[파이낸셜뉴스] 2019년 일본 수출규제 이후 우리 소재·부품·장비(소부장) 100대 핵심품목일본 의존도가 낮아졌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3대 품목인 불화수소, EUV레지스트는 의존도가 각각 66%, 50% 하락하고 불화폴리이미드는 사실상 0으로 전략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28일 소부장 협력모델 성과기업인 경기도 안산소재 율촌화학을 방문해 성과를 점검하고 소부장 핵심품목 해외 의존도를 점검했다. 소부장 100대 핵심 품목의 대일 의존도는 2019년 30.9%에서 2021년 24.9%로 약 6%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3대 품목인 불화수소, EUV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의존도가 급감했다.
불화수소 대일 수입액은 2019년 3630만달러에서 2021년 1250만달러로 66% 감소했다. EUV레지스트는 벨기에산 수입 다변화 등으로 대일 의존도가 50% 이하로 감소했다. 불화폴리이미드는 대체소재 채택으로 대일 수입 수요가 사실상 0으로 전환됐다.
아울러 수요기업, 공급기업, 공공연구기관, 대학의 협력 확산 등 소부장 협력 생태계는 빠르게 활성화 돼 소부장 기업의 가시적인 성장이 확인되고 있다.
수요·공급 참여 연구개발(R&D) 성과는 매출 3306억원, 투자 4451억원, 고용 3291명, 특허 1280건으로 나타났다.
소부장상장기업 총매출은 2021년(1~9월) 기준 2019년 동기대비 20.8% 증가했다. 소부장 무역흑자 규모도 2021년 누계 기준 전체 산업 대비 3.9배 증가했다.
이는 정부가 소부장 지원을 강화하고, 업계가 대체품 개발에 적극 나선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 규제 정책 시행 직후인 2019년 11월 '소부장 협력모델'을 도입하고 총 45개의 협력모델을 발굴했다. 2025년까지 약 3800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도 지원한다.
또 환경·노동 등 규제 특례, 세액 감면 등 세제·정책금융 등 패키지도 지원하고 있다.
문 장관이 이날 방문한 율촌화학은 소부장 협력모델의 성과 사례다.
율촌화학은 일본 수출규제 후 국내 2차전지사와 지속 협력해 현재 전량 일본에서 수입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파우치를 국산화했다. 전기차용 배터리 파우치는 2차전지를 보호하는 최종 외장재이며, 알루미늄 필름에 표면처리와 합지, 코팅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율촌화학은 전기차용 2차전지 파우치 소재와 파우치 생산장비도 국산화하면서 연간 최대 1억㎡의 파우치 생산이 가능하게 됐다.
그동안 배터리 완제품 제조 경쟁력에 비해 떨어진다고 평가받던 2차전지 소부장 분야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이 과제에 국비 73억원을 지원했다. 또 기술개발 정부출연, 정책금융지원, 세제 지원, 인력지원, 행정절차 신속 처리 등으로 연구를 뒷받침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