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기념식. 사진제공=양주시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기념식. 사진제공=양주시

【파이낸셜뉴스 양주=강근주 기자】 양주시 광적면 만세배미는 항일독립운동이 일어났던 현장이다. 1919년 3월28일 열사 3명이 일제에 저항하며 만세운동을 벌이다 이곳에서 순국했다. 양주시는 매년 3.1운동 기념식 및 재연행사를 거행하며 순국선열 헌신과 희생과 숭고한 뜻을 기리고 있다.

양주 만세독립운동은 3월1일보다 좀 늦게 일어났다. 역사적 그날, 광적면 만세 시위는 면소재지인 가납리에서 일어났다. 가납리에는 3월 초부터 만세운동 소식이 전달됐고 만세 시위를 추동하는 사발통문이 나도는 등 만세독립운동 분위기가 고조됐다. 광적면 만세 시위는 당시 양주군내 만세 시위 중 가장 격렬하게 전개됐다.

당시 만세 시위를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추진했던 인사는 효촌리 출신 김진성-백남식-이용화 등이다. 이들은 광적면에서 만세 시위를 벌이기로 결의하고 시위대를 이끌고 장고개를 넘어 광적면 가납리에 도착해 태극기를 휘날리며 만세를 고창했다.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재연행사. 사진제공=양주시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재연행사. 사진제공=양주시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재연행사. 사진제공=양주시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재연행사. 사진제공=양주시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재연행사. 사진제공=양주시

이때 가납리에는 광적-백석면 주민이 모여 만세를 부른 뒤 해산하고 있었다. 효촌리 시위대가 도착하자 흩어졌던 시위대원이 다시 모였고, 시위대 수는 950여명에 달했다. 시위대는 논 가운데(현 가납리 732-4, 이날 시위 이후 이곳을 ‘만세배미’라고 부른다)에 모여 오후 4시경 시위를 재개했다.

만세 시위가 전개되자 의정부에서 급파된 헌병 5명과 보조원 노호연, 광적면장 이하용이 도착했다. 헌병이 논둑 위에서 주모자를 찾자, 이용화를 필두로 김우규-한춘석이 앞으로 나섰다. 헌병이 군중 해산을 명령했지만 시위대는 이에 굴하지 않고 계속 만세를 외쳤고 헌병은 깃발 든 쪽을 향해 발포를 시작했다.

순국선열 3인 헌신 메아리, 양주 광적면 만세배미
양주시 가래비 3.1운동 재연행사. 사진제공=양주시

결국 시위대 선두에 서 있던 김진성-이용화-백남식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말았다. 이외에도 일본 헌병 발포로 시위대원 가운데 4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시위는 시작 2시간만인 오후 6시경 끝났다.


당시 만세 시위 현장이던 가납리 732-4번지 일대는 현재도 ‘만세배미(만세답)’로 불리고 있다. 양주시는 1986년 6월 가래비 3.1운동 기념비를 건립하고 매년 3월1일 추념식 및 추모제향을 봉행했다. 그리고 2007년 당시 순국열사들이 실제로 만세운동을 했던 만세배미 현장에 순국기념비를 제막하고 일제에 대항해 만세 시위를 벌이다 헌병들의 무차별 사격에 의해 현장에서 순국한 김진성-이용화-백남식 열사의 고귀한 뜻을 기리고 있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