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군 밤 11시 바깥 출입 많지 않을 것
정부 "거리두기 완화따른 영향은 10% 이내"
4일 서울 송파구보건소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신속항원검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제공.
[파이낸셜뉴스]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으로 영업시간이 1시간 늘어나는 것에 대해 방역당국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발생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4일 질병관리청은 비대면 백브리핑을 통해 이 같이 밝히며 거리두기 완화로 영업시간을 완화하더라도 고령자 등 고위험군의 이동 가능성은 낮고 따라서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질병청과 코로나19 예측모델을 본석한 김찬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은 "시간변화가 전체 인구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 한계가 있고, 영업시간이 1시간 늘었다고 60대, 70대가 더 돌아다닐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위중증과 사망자 발생은 연령대를 고려해야 하는데 1시간으로는 아주 큰 차이가 생길 것 같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을 통해 오는 13일까지인 현행 거리두기 지침을 조기 조정해, 사적모임 제한은 6명으로 두고 영업시간 제한을 기존 밤 10시에서 밤 11시로 한 시간 미뤘다. 거리두기 조정은 오는 5일부터 본격 적용된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감염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대유행 속에 내려진 영업시간 1시간 연장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위중증 환자도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실제로 이날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중대본 브리핑에서 "질병관리청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보면 이번 거리두기 완화로 인한 영향은 10% 이내가 될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10% 정도는 의료대응체계 내에서 감내할 수준"이라고 밝혔다.
다만 방역당국은 모델링의 특성상 정책 수준 등 여러 변수를 해당 시점에서 가정하고 진행했기 때문에 이후 정책변화 또는 국민들의 행동변화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