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소명' 沈, 지난 대선 비해 존재감 미미
정의당도 기존 기조냐 외연 확장이냐 선택 기로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8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 상상마당 광장에서 유세를 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여영국(오른쪽) 정의당 당대표와 당직자들이 9일 서울 여의도 중앙 당사에서 제20대 대선 출구 조사 발표를 지켜보고 있다. 박범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진보정치 20년' 외길을 걸었던 심상정 후보와 정의당은 이번 대선 낮은 지지율로 최대 고비를 맞게 됐다.
'마지막 소명'으로 대선에 네 번째 도전한 심 후보 득표율이 지난 대선(6.2%)에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칠 것으로 예상돼서다.
정의당도 거대양당 대결구도 속 이렇다할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면서 중대 기로에 섰다. 환경, 노동, 여성 등 진보 가치를 부각해온 정의당이 기존 기조를 이어갈지, 대중 정당으로 외연 확장에 나설지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는 분석이다.
9일 투표 직후 발표된 지상파 3사 출구조사 결과에서 심 후보는 2.5%(95% 신뢰수준에서 ±0.8%p), 종합편성채널 JTBC에서도 2.5%(95% 신뢰수준에서 ±1.2%p)를 기록했다. 지난 19대 대선에 비해 득표율 대폭 하락이 확실시된다.
정의당은 유권자들이 양당 후보에게 결집한 결과로 해석하면서도, 침통한 분위기를 감추지 못했다.
이번 대선에서 심 후보는 특히나 고전하는 모습이었다. 단일화 전 같은 3지대 후보로 불렸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여론조사에서 10% 초중반대 지지율을 기록하며 상승세도 보였지만, 심 후보는 2~3%대 박스권에 머물렀다. 허경영 국가혁명당 후보에 비해 여론조사 지지율이 낮다는 해석도 다수 나왔다. 정의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에서도 이정미 전 대표와 결선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선출됐다.
심 후보는 지난해 10월 12일 수락 연설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대전환 마지막 길목에 서 있다"며 "30여년 동안의 양당 정치를 바꿔야 한다. 정치교체를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주 4일제와 기후위기 해결, 성평등 사회, 부동산 투기공화국 해체 등 '진보정치'의 가치를 보여주는 의제를 적극 부각했다. 다당제 연합정치로의 전환을 골자로 하는 정치개혁 또한 심 후보의 핵심 공약이었다.
하지만 선명한 진보 의제가 대통령 선거에서는 오히려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였다. 심 후보가 활동을 중단하고 고심한 것도, 선명성이냐 대중성이냐 기로에 놓인 정의당의 고민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심 후보는 지난 1월 12일 밤 돌연 "현 선거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며 활동을 중단했다가 5일 만에 대선 완주 의지를 밝혔다.
고민 끝에 심 후보는 외연 확장보다는 진보정치 선명성에 초점을 맞췄다. 심 후보는 "이번 대선에 심상정과 정의당의 재신임을 구하겠다. 가치와 원칙은 더 선명해지겠다"고 분명히 했다. 사회적 약자의 이야기를 듣는 '지워진 이름들', 2030대 청년과 함께하는 '2030 프라이드 유세' 등의 특색 테마로 유세에 적극 나섰다. TV토론에서도 각 후보 공약 이행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을 날카롭게 묻는 등 '저격수'로서 존재감을 키웠지만, 결국 낮은 지지율이란 결과표를 받아 들게 됐다.
정의당도 위기에 놓였다. 심상정이라는 상징성 있는 정치인에 이어 정의당을 대표할 인물이 부족하다는 점에서다.
경기 고양시갑을 지역구로 둔 심 후보(4선)를 제외하면, 배진교 원내대표를 비롯해 강은미·류호정·이은주·장혜영 의원 모두 비례대표 초선 의원이다.
선명성 대 대중성 논쟁을 비롯해 당 내 치열한 논의와 쇄신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진보 선명성을 이어갈지, 대중성 보강을 통한 외연 확장을 꾀할지 등 정책 기조와 방향에 대해서도 대대적 점검과 재정비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