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美금리 인상에도 中 '경제 안정' 통화정책 완화 '고수'

- 15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와 지급준비율, 기준금리 인하 관측

美금리 인상에도 中 '경제 안정' 통화정책 완화 '고수'
위안화 이미지 사진. /사진=뉴시스화상

【베이징=정지우 특파원】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주기에 진입하더라도 중국은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당장 15일 정책금리인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금리 인하가 거론된다.

14일 중국 증권보는 중국사회과학원 위용딩 위원을 인용, “중국 금리인하와 연준의 금리인상은 양국간 금리격차를 좁힐 것”이라면서 “하지만 이것만으로 중국 통화정책을 바꾸기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위 위원은 중국과 미국의 시장 상황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경우 연준이 기준금리를 2% 인상해도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실질 금리수준은 여전히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하는 반면 중국은 인하 조치를 단행해도 플러스라는 게 위 위원의 설명이다.

더욱이 올해 중국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는 ‘안정적인 성장’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를 위해 은행의 대출 가능 자금을 늘리고 신용대출을 확대하도록 유도하며 금리를 인하하는 등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화촹증권 수석 거시분석가는 장위는 “연내 금리 인하의 문은 닫히지 않았으며 조만간 중요한 관찰 시점을 맞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인민은행이 취할 조치는 우선 MLF 대출금리 추가 인하가 언급됐다. MLF는 인민은행이 시중에 자금을 공급해 유동성과 금리를 조절하는 정책 수단이다. MLF 금리가 낮아지면 은행 입장에서는 고객에게 대출해 주기 위한 자금의 원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생긴다.

중국 현지 경제 전문가도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간 목표치인 5.5% 안팎보다 내려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금융시장 일각에서 이르면 15일 MLF 금리를 추가로 내리거나 은행의 지급준비율(지준율)을 상반기 중 한차례 인하하는 정도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1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년 만기 MLF 대출금리를 기존의 2.95%에서 2.85%로 0.1%p 내렸다. MLF 인하는 2020년 4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MLF 금리는 사실상 기준금리 성격인 대출우대금리(LPR)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인민은행은 올해 1월에도 MLF 인하 3일 뒤 1년 만기 LPR를 0.1%p 낮췄다.

공상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청스는 “앞으로 2~3차례의 후속 금리인하가 있을 것”이라며 1년 만기 LPR이 20bp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중국이 안정적 경제 성장을 위해 통화정책에 의존하는 것은 올해 재정적자비율(2.8%)이 전년(3.2%)에 비해 축소되는 등 정부의 재정 여력에 우려가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여기다 지방정부전용채권 발행한도가 3조6500억 위안으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에 머물면서 재정건전성 문제, 재정의 지속 가능성 등을 고려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진단이다.

현지 경제 전문가는 “39조3000억 위안이라는 지방정부융자기구(LGFV)의 부채 규모가 재정 여력을 약화시키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수행할 경우 장애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면서 "이로 인해 일부에선 정부의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다”고 주장했다.

LGFV는 중국의 숨겨진 부채다. 지방정부가 특정 인프라를 건설할 때 LGFV이라는 국유기업을 통해 자산 담보를 제공하고 채권을 발행, 자금을 조달한다. 실제로는 지방정부가 조달한 돈이지만 공식 대차대조표에 반영되지 않아 중앙 정부의 공식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