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행안부 "봄 산행, 실족 조난사고 주의"

등산로 미끄러워 조심해야
일교차 커 해지기 전 하산을

행안부 "봄 산행, 실족 조난사고 주의"
행정안전부는 봄철 등산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사진은 소방구급대원이 산행 중에 사고를 당한 등산객을 구조하는 모습.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행정안전부는 봄철 등산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24일 행안부는 지난 2020년에 발생한 등산사고는 총 8454건으로 4573명(사망 124명, 부상 4449명)의 인명피해가 났다고 밝혔다.

등산사고(8454건) 4건 중 1건(2127건)은 봄(3월~5월)에 일어났다. 3월에 594건, 4월에 798건이 발생했다.

봄철 등산사고는 발을 헛디디거나 미끄러지며 발생하는 실족이 38%(총 1392건 중 527건)로 가장 많았다.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 27%(377건), 지병 등으로 인한 신체질환 17%(245건) 순이다.

시간대는 낮 12시에서 3시 사이에 3~4월 등산 사고의 33%(총 1,392건 중 466건)가 발생했다. 어두워지기 시작하는 저녁 6시 이후의 등산사고도 14%(189건)나 차지했다.

요즘같은 이른 봄에 산행을 할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등산로는 아직 녹지 않은 얼음과 서리 등으로 생각보다 미끄럽고, 꽃샘추위 등으로 인한 날씨 변화도 심하다.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해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도중이라도 몸에 무리가 오면 즉시 하산해야 한다.

산행 시 고도가 높은 곳이나 그늘진 응달, 낙엽 아래에는 채 녹지 않은 얼음 등으로 미끄러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특히 암반 지대나 바위 등이 젖어있으면 더욱 미끄럽다.

등산화는 가급적 바닥 면의 마찰력이 좋은 것으로 선택하고 등산지팡이를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날씨가 풀리고 꽃샘추위 등으로 지반이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며 작은 충격에도 바위나 흙 등이 부스러져 내리기 쉬우니 봄 산행에서는 항상 머리 위와 발밑을 조심해야 한다.

낙석 주의 표지판 등이 있는 곳은 접근하지 말고 우회하도록 한다.

출입이 통제된 금지 위험구역은 출입하지 않도록 하고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해야 한다. 길을 잃거나 잘못 들었을 때는 왔던 길을 따라 아는 곳까지 되돌아오는 것이 좋다.

만약 길을 잃어 구조를 요청할 때는 등산로에 설치된 다목적 위치표지판(국가지점번호 등 기재)을 활용해 신고한다.

일교차가 커 보온에도 신경써야 한다.

갑자기 기온이 낮아지거나 찬 바람이 불 때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과 장갑 등을 챙겨가도록 한다.

산행에 나설 때는 가벼운 타박상이나 긁힘 등 사고에 대비하여 반창고, 붕대 등이 들어있는 간단한 구급 약통을 챙겨가는 것도 필요하다.

골절이나 염좌가 의심될 때는 손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하여 붓기를 예방하고, 부득이하게 이동할 때는 손상 부위에 부목을 대고 압박붕대나 옷 등으로 고정해 움직임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산행에 나서면 뜻하지 않게 야생동물과 마주칠 수 있다. 이 중 난폭한 야생동물과 만나면 침착하게 주변의 나무나 바위 등에 몸을 숨기고 가급적 움직임을 줄여 흥분시키지 않아야 한다.

특히 야생동물에게 등을 보이며 달아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산에서는 생각보다 해가 일찍 저물고 빨리 어두워져 각종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적어도 해가 지기 2시간 전에는 산행을 마치도록 한다.

구본근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늦은 시간까지 산에 머무는 것은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나 홀로 산행을 할 경우에는 가족 등 주변에 행선지를 알리기를 당부한다"고 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