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해외사업 리스크 관리 비상 걸린 日 3대 메가뱅크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일본의 3대 메가뱅크(초대형은행)의 총자산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일본의 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1.5배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처는 마땅치 않은데, 몸집이 계속 커지고 있어 내부에서도 "너무 커져서 관리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의 메가뱅크 체제는 2002년에 시작됐다.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당시 미즈호은행, UFJ은행, 미쓰비시 도쿄은행,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 등 4개 대형 은행의 총자산은 약 439조엔이었다. 이후 2005년 UFJ와 미쓰비시 도쿄가 통합되면서, 미쓰비시UFJ금융그룹이 탄생, 미쓰이 스미토모, 미즈호와 함께 '3대 메가뱅크'로 불리게 됐다. 이들 3개 은행그룹의 총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842조엔으로 증가했다. 20년 만에 약 2배 가까이 커진 것이다. 일본의 GDP(542조엔)의 1.5배다.

3대 메가뱅크의 총자산을 종업원 수로 나누면, 1인당 약 30억엔이 된다. 일례로, 미국 4대 은행인 JP모건 체이스가 약 16억엔, 뱅크 오브 아메리카가 약 20억엔, 시티그룹이 약 13억엔, 웰스 파고가 약 9억엔이다.


관건은 커진 몸집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느냐다. 초저금리 시대, 호황기 때 해외에서 벌여놓은 투자사업들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과제로 부상한 것이다. 일본 1위 은행인 미쓰비시UFJ은행 내부에서는 최근 "투 빅 투 매니지(Too Big To Manage, 너무 커서 관리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