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보건상황과 무관한 7차 핵실험 개연성
강행 경우 국제사회 최대압박 대립 불가피..
[파이낸셜뉴스]
지난 5월 13일 38노스 풍계리 핵실험장 위성사진. 사진=38노스 캡처
16일 군 관계자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앞두고 핵무기 소형화에 집중하고 있다며 "핵무기라는 것이 핵탄두와 투발 수단, 기폭 장치인데 북한은 최근 몇 년간 투발 수단 개발에 경주했다"며 "4월에 김 위원장이 전술핵 사용을 언급한 점을 감안하면 경량화, 소형화에 경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날 관계자는 "군은 북한이 단기간에 핵실험을 벌이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비하고, 대비태세를 유지, 북한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다른 형태의 핵무기를 개발한다면 어느 정도 핵실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며 "소형화하려면 그런 것들의 신뢰성 검토 차원에서 핵실험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관계자 또 풍계리에서 또 핵실험이 이뤄질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지역이 넓으면 유발 지진이나 암반에 관계없이 추가 핵실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며 답했다.
앞서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북한은 날이 갈수록 핵무기 체계를 고도화하면서 핵무기 투발 수단인 미사일 시험 발사를 이어가고 있다.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하는 정황도 파악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24일 북한 핵무기연구소 관계자들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를 위한 폭파 작업을 했다. 2번 갱도 폭파 후 옆 관측소 건물도 폭파되면서 연기와 함께 잔해물이 날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군 당국은 북한은 올해 3월부터 추가 핵실험 준비에 나선 움직임이 감지돼 7차 핵실험을 위한 준비가 '상당'히 진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특별히 추가적인 '핵실험 임박 동향'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실험 감행 시기는 지난달 25일 북한인민군 창설일 이후부터 한미정상회담 전후까지 다양한 시기로 예측하고 있으나, 김정은의 판단에 달렸다고 분석한다.
또한 북한이 지난 12일 오전 내부 코로나 확진 사실을 공표한 데 이어 당일 오후 도발을 감행한 것은 북한의 이중적 행보 시사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이는 북한 내에 어떠한 상황이 발생해도 정권유지의 핵심인 무기개발은 지속할 것을 의미하며 이는 북한 내 보건상황과 무관한 7차 핵실험을 진행할 개연성을 보인다는 해석이다.
새 정부의 첫 한미정상회담을 전후해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남한과 국제사회에 일정부분 충격을 던지겠지만 북한도 한미연합과 국제사회의 더욱 강한 최대 압박을 불러일으켜 극심한 부작용과 대립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한편, 지난 2017년 6차 핵실험 당시 북한은 4월부터 핵실험을 예고 이후 여러 차례 거론한 뒤 9월에 실행을 감행한 바 있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